의대합격 LTP [1327034] · MS 2024 · 쪽지

2025-02-12 18:03:44
조회수 535

새학기 시작하기 전, 생기부 점검 리스트

게시글 주소: https://cuttingedge.orbi.kr/00071954040

새로운 학년 시작을 앞두고 생기부컨설팅 관련해서 문의가 많이 오고 있습니다.

내신 성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거나, 작년 생기부가 미흡하다고 생각해서 불안한 시기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내신 성적을 극복하고 합격한 학생들은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무엇을 준비했을까요?


(상위권 대학에 몰려있는 학종 전형 특성 상, 본 내용은 메디컬 계열 또는 (최)상위권 대학을 지원하는 학생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1. 내 생기부의 메인 스토리를 찾아봅시다.

최상위권 학생일수록 내신과 교과 역량은 기본이 됩니다. 

이때 내신을 뒤집고 상향지원 합격한 학생들의 비결은 ‘스토리’였습니다. 


작년 생기부를 점검하면서 가장 핵심적인 활동 4개 이내로 정리해 보세요.

많지도, 적지도 않게 딱 4개입니다.

(이때, 제3자의 눈을 빌려도 좋습니다.)


활동을 고를 때, 다음 기준을 적용해 보세요.

(1) 활동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적혀 있는가? (미사여구, 칭찬 X)

(2) 직접 실험하거나 적용하는 과정을 거쳤는가?

(3) 모든 학생들이 흔하게 하는 활동은 아닌가?


이렇게 정리한 활동들을 연결하면 나만의 ‘스토리’가 될 수 있습니다.
이때 스토리는 1,000명의 생기부를 펼쳐 놓아도 겹치지 않을 정도로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2. 스토리를 설명하는 탐구 활동을 설계해봅시다.


스토리를 찾았다면, 이제 생기부에 풀어내고 설득해야 합니다.

학생들에게 탐구 활동을 설계할 때 ‘4-2-1 구조’를 활용하도록 합니다.


4-2-1 구조란, 메인 스토리와 연관된 세특을

- 1학년: 4개 이상

- 2학년: 2개

- 3학년: 1개


이렇게 배치하며, 내용이 점점 고도화되고 융합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전략입니다.


흔히 생기부에서 ‘연계성’과 ‘일관성’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같은 키워드를 반복한다고 연계성이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스토리를 설득하기 위해서는, 이전 활동이 근거가 되어 관심과 탐구가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예비고 2,3학년이라면 작년 활동을 심화하거나 변형해 보고, 다른 활동과 융합해 보세요.

예비고 1학년이라면 메인 스토리에 맞는 4-2-1 구조 주제들을 미리 그려보세요.




아직 감이 잡히지 않는 학생들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무작정 비싼 생기부컨설팅을 받아서 해결될 문제는 아닙니다.

결국 생기부는 ‘내’가 만들어야 합니다.


내가 스스로 나의 강점을 찾지 못했는데, 학원이 대신 찾아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새로운 학생이 찾아오면, 1시간 동안 학생에게 질문 폭탄을 던집니다.
학생이 어떤 사람인지, 어떤 흐름을 가질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짧은 글에 모든 내용을 담을 수 없어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 자료에서 한 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컨설팅 없이도 학생들이 스스로 합격 생기부를 만들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습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ltp_consult/products/11400658617



내신을 뒤집는 생기부를 제대로 만드려면 '미리' 알고 준비해야 합니다.

그때그때 유튜브, 입시설명회에서 들은 정보로 채워넣으면 이도저도 아닌 생기부가 되더군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