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la [758219]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25-02-01 17:28:58
조회수 4,227

[Zola] 통계를 거스르지 마세요(feat. 사탐런)

게시글 주소: https://cuttingedge.orbi.kr/00071715951

Zola임당.

일단 문과는 나가셔도 됩니다.

이번 주제 7은 사탐런입니다. 

http://bit.ly/3E0sg20


지금 제가 보여드릴 영상은 아래 칼럼과 전혀 무관하게 제작된 것이지만

아래 칼럼의 자매격이지 않을까 싶네요. 

다들 생각은 비슷한가 봅니다.


https://orbi.kr/00071712754


무엇보다

저는 20년을 입시판에 있다 보니

통계 수치를 무시하지 마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1~2등과 나머지의 차이를 무시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여러분 하나 하나 개성 넘치고 재능과 적성과 자질이 다 다른 개인들이지만

다 거기서 거기이기도 합니다.

우리들은 유사한 집단이고, 경향이고, 흐름을 이루는 요소들이기도 합니다.

영상에서 사용된 ppt 자료들을 잘 봐 보시길 바랍니다.



이번 영상이 주제 7입니다.

주제 8도 촬영은 끝내두었으니 기대해 주세용^^

http://bit.ly/3E0sg20


열공+즐공=대박!!


[주제 7 대본]

대본대로 하지는 않았습니다. 

전체적인 흐름 파악용으로 참고하세요.


[도입]

저는 서울대 사회교육과를 수석 졸업한 후 20년 동안 재수생들을 대상으로 수능 생윤을 가르쳐왔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상담하고 가르친 학생들만 약 3,000명이 넘었는데요. 

그 중 정말 많은 질문 중 하나였던 ‘사탐런’에 대한 저

의 생각을 말씀드려보려고 합니다. 


여러분이 지금 사탐런을 고민하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더 높은 수능 성적을 받기 위해서죠. 하지면 여기서 중요한 건, 수능은 상대평가이기 때문에 높은 점수가 아닌 ‘높은 등수’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사탐런을 결정하기 전에 던져야 할 핵심적인 질문이 있습니다. 


‘사탐런이 내 등수를 올릴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전략적인 사탐런이라면 = 쌉가능’이라는 말입니다.

왜 가능한지 지금부터 하나하나 자세하게 설명해드려볼게요. 



자, 먼저 사탐런을 한 학생들이 수능에서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 지 한 번 보도록 해보죠. 이 이미지는 최근 수능 후 사탐런에 대한 현실적인 반응입니다. 


ppt


여기 보면...생지 46인데, 사문생윤12나왔다고 하네요. 진짜 대박이네요...

주변에 사탐런 한 친구들은 다 좋았다는 얘기도 나오네요.


ppt

다른 통계를 한 번 볼까요?



이 사이트에서는 사탐런한 분들의 만족도를 조사했네요

만족 55 vs. 후회 8


사탐런을 선택한 약 80% 이상의 이과생들이

좋은 성적을 거두고, 만족을 했다는 결과가 나왔어요.


결과를 보면, 사탐런이 꽤나 옳은 선택인 것 같아요?ㅎㅎㅋㅋ 


그런데 사탐런을 한다고 끝이냐?

그게 아니죠.


정말 사탐런으로, 수능 대박을 만들고 싶으면

과목 선택을 정말 신중하게 하셔야 합니다. 


지금부터 여러분이 어떤 선택 과목을 선택하면 좋을지

자세하게 설명해드릴 테니, 

집중하고 잘 들어보세요. 


사탐 과목을 고를 때는 2가지를 봐야 합니다. 


1.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선택하는지

2. 주로 어떤 학생들이 선택하는 과목인지


(1) 자, 여기 표를 한 번 보시죠

ppt


여기서 숫자가 적은 과목을 선택하는 건 조금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해당 과목을 선택한다는 건, 정말 이 과목을 좋아하고 잘 하는 ‘마니아’들이 많기 때문인데요. 여러분이 이런 마니아들과 경쟁하면 당연히 불리하실 겁니다. 


각 과목마다 어떤 학생들이 주로 선택하는 지, 특징을 설명드려볼게요. 


ppt

한국지리/세계지리: 암기ㆍ지식의 비중이 높음. 사탐 등급에 목숨거는 예체능이 많이 선택함. 1컷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됨


세계사/동아시아사: 어지간한 강사보다 더 잘 아는 마니아층이 존재. 암기ㆍ지식 비중이 높고 양도 많음. 세계사의 경우에 깊이있는 지식은 없어도 되지만 양이 광범위함. 수박겉핥기식으로 공부하는 분들이 많은데, 문제는 수박 겉면이 넓어서 다 핥지 못함. ㅋㅋㅋㅋ


ppt

정법ㆍ경제: 인문계 엘리트들과 맞다이 뜨고 싶으면 하세요. 


경제와 정법은 문과 최상위권 학생들이 주로 선택하는 과목이에요.


아무리 이과분들이 문과를 무시한다고 하지만 

이 친구들은 문과에서도 상위 10% 학생들이기 때문에

국, 영, 수 전부 다 우수한 성적을 갖고 있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사탐런 하는 친구들이 경제, 정법, 사회문화를 많이 고려하는데요. 

굳이 여러분이 이런 강한 경쟁자들과 맞붙을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자, 정리하면 저는 사탐런을 하는 친구들은 ‘소수 과목’을 선택하는 걸 추천하지 않습니다.


1. 마니아층, 즉 그 과목에 미쳐있는 고인물이랑 경쟁하거나

2. 문과 초엘리트들이랑 경쟁해야 하기 때문이에요.


만약 님들이 망해도 좋다고 할 만큼 그 과목들을 좋아한다면 선택하세요. 

그 정도면 님이 마니아 즉 고인물이 될 수 있을테니까요.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지간하면 남들이 선택하지 않는 길은...가지 마세요


그러면 어떤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냐!

선택지는 조금 좁아진 거 같아요, 그죠?


여러분이 사탐런을 해서 좋은 성과를 거두려면,

결국 문과 중에서 가장 공부 못하는 친구들이 몰려 있는 과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그 과목은....

아.............ㅜㅜ


네....제가 가르치는 바로 생활과 윤리입니다 ㅜㅜ


일단 현실은 그렇습니다.,,


그래서

사탐런할 때 경쟁자들의 수준을 생각한다면

일반 사회쪽에서는 사회문화가 경쟁자 수준이 낮은 편이고

사탐 전체를 통틀면 생활과 윤리가 가장 경쟁자 수준이 낮습니다.


제가 바로 이전 영상에서

생윤 + 사문 조합을 추천했는데요.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여기서는 선택자들의 수준을 고려해봐도

생윤-사문의 장점은 확실합니다.


<사문과 생윤의 장점은 ppt 보면서 설명할게요>


그러면 사회문화와 생활과 윤리의 단점은 무엇일까요?


단점을 보면 ~~한 것들이 있는데요.

사실 저는 이런 단점들이 있다고 해도, 

사회문화와 생활과 윤리는 장점이 단점을 압살한다고 봅니다.


무슨 과목이든 단점이 없는 과목은 없습니다.

그러니 단점에 비해 장점이 얼마나 큰지를 따져야 할텐데 

사문과 생윤만큼 장점이 큰 과목이 무엇이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자, 정리하겠습니다.


1. 입시에서 중요한 것은 

점수가 아닌 등수입니다.

여러분의 등수를 위해서라면

사탐런은 충분히 장점이 있습니다.


2. 사탐런을 할 거라면

굳이 강자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마니아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갈 필요는 없습니다.


3. 약자들이 모여있는... 이런 말해서 죄송합니다...

생윤과 사문을 추천드리겠습니다.


[마무리]


사실 오늘 이 영상이 올라가면 제 수강생들이 별로 안 좋아할 거 같긴 한데요. (전략이 다 드러나서..^^)


그래도 다같이 수능 잘 보면 서로 좋은 게 좋은 거 아니겠습니까?^^


저는 그럼 다음 영상에서도 더 좋은 꿀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200)

  1. 200

  • 멋자진지 · 1341969 · 02/01 17:37 · MS 2024

    생윤은 위가 너무 고여서 여기는 안됨

  • Zola · 758219 · 02/02 01:53 · MS 2017

    생윤 위가 고였다구요?? 설마요^^

  • 기출이 된 할매 · 1326122 · 02/04 11:09 · MS 2024

    에휴 한심한 양반아ㅋㅋ

  • 기출이 된 할매 · 1326122 · 02/04 23:05 · MS 2024

    결국 탈갤했네.. 남들 공들여 쓴 칼럼에 이러고싶을까

  • Zola · 758219 · 02/05 11:24 · MS 2017

    님 덕분에 오르비가 더 좋아졌네요. 그나마 다행입니다.

  • 기출이 된 할매 · 1326122 · 02/05 11:26 · MS 2024

    저는 졸라님 글 보고 생윤하기로 맘먹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Zola · 758219 · 02/05 21:36 · MS 2017

    힘내시고, 오르비 잘 활용하시면 좋은 결과 있으실 겁니다.
    처음 시작하는 것 같은데
    이 영상도 꼭 확인해 보세요. 열공+즐공=대박!!
    https://www.youtube.com/watch?v=6wZQoNMqJNw

  • 환상의 돌고래 · 1035153 · 02/01 17:47 · MS 2021

    생윤사문... 그저 개꿀통 조합이죠
    저도 계속 생윤사문으로 사탐런해라고 조언 하는 중입니다 ㅎㅎ
    https://orbi.kr/00071165337#c_71600027

  • Zola · 758219 · 02/02 01:54 · MS 2017 (수정됨)

    님 자료 대박임....사탐런 관련 글들 링크 싹 다 정리해놓으면 좋을 듯 하네요^^

  • 욘쎄이 · 1332187 · 02/02 11:24 · MS 2024

    경제랑 정법은 같이 묶기 좀 그럴 정도로 표본 차이가 큰걸로 알고있어용

  • %%%%%% · 1347506 · 02/02 11:27 · MS 2024

    그렇죠. 정법을 꼭 상위권 학생들이 하는 건 아닌 듯

  • Zola · 758219 · 02/02 12:06 · MS 2017

    등수를 기준으로 해서 그래요. 점수가 어느 정도야 표본이 다른지는 그런건 기준이 없으니까요. 열공즐공대박

  • %%%%%% · 1347506 · 02/02 11:25 · MS 2024

    윤사는 안 가르치시나요? 굳이 이렇게까지 생윤사문 선택해야 한다고 반복해서 말씀하실 이유가...

    제 경험상 윤사 잘하면 생윤도 잘하더라고요. 물론 중상위귄, 때때로 딱 중위권까지도...사탐런 학생들은 문과로 오면 중위권 이상인데, 교재만 잘 선택하면 둘 다 1등급 받는 거 수월한 것 같습니다.

  • %%%%%% · 1347506 · 02/02 11:30 · MS 2024

    꼭 교재 선택 아니라도, 교사만 잘 만나면 그렇게 되는 듯. 나는 사탐런 학생들이 생윤은 오개념 논란 있어서 그렇다 쳐도, 왜 윤사가 아닌 사문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과탐 체질인데 등급 때문에 불가피하게 사탐런 하는 거라면 그 체질에 딱 맞는 게 윤사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 환상의 돌고래 · 1035153 · 02/02 11:46 · MS 2021

    윤사는 생윤에 비해 양이 많고 좀더 덕후 과목느낌이고
    블랭크 난 일도 있죠.
    그에 반해 사문은 21-25 5년간 만점 백분위가 100이고 표점도 안정적이고 등급컷도 안정적이라
    생윤사문이 정배인듯 해요
    개인적으로 코드원님 존경합니다

  • %%%%%% · 1347506 · 02/02 12:10 · MS 2024

    여기서 왜 코드원이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저도 코드원 교재로 공부하긴 했지만

    모평 때 1 찍다가 수능 때 나락 가는 일이 많은 건 평가원 탓이 아니라 인강, 그리고 교재 탓, 수험생들의 자세 탓이라는 판단이 들어서 교재 잘 선택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을 뿐입니다.

    사탐런 학생들은 문과로 오면 중간은 무조건 넘고 이 학생들 지도하면 예외 없이 쌍윤 1 찍더라고요. 문제가 쉽든 어렵든 상관없이..사탐런 현상이 있기 전에도 자연계 갔다가 체질이 아니라는 생각에 2학년 2학기 때쯤 문과로 넘어오는 학생들이 가끔 있었는데 예외가 없었어요.

  • 허수생윤 · 1310246 · 02/04 23:44 · MS 2024

    코드원 교재로 공부하셨다구요?

  • %%%%%% · 1347506 · 02/05 09:01 · MS 2024

  • 허수생윤 · 1310246 · 02/04 23:47 · MS 2024

    교사신가요 대학생이신가요

  • 허수생윤 · 1310246 · 02/05 14:33 · MS 2024

    오개념 없는 교재가 없다고 글 쓰셨던데 코드원 교재 오개념이 궁금합니다

  • %%%%%% · 1347506 · 02/05 16:23 · MS 2024

    코드원은 오개념 없습니다.

  • 허수생윤 · 1310246 · 02/05 21:46 · MS 2024

    ㅋㅋㅋㅋㅋㅋ넵.

  • Zola · 758219 · 02/02 12:09 · MS 2017 (수정됨)

    윤사 사문 모두 서브?로 가르치는데 ... 윤사가 1선택이면 생윤 하는걸 반대하지 않는다는건 지난번에 얘기했어요. 문제는 윤사 잘 하는 친구들이 많지 않다는거죠ㅜㅜ 글고 가르쳐보면 윤사보다 사문이 더 초심자에게 쉽고 이과틱하다고 해야하나..그렇더라구요.
    저도 윤시 잘하는 친구들 보면 기분도 좋고 생윤 얘기 해줍니다. 다만 방심하지 말고 입시에 임하라는 얘기는 꼭 해줍니다. 열공즐공대박

  • 아까나다 · 421489 · 02/02 13:06 · MS 201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 · 1347506 · 02/02 17:47 · MS 2024

    뭘 권하시든 강사님 자유입니다만, 저는 이렇게 너무 명확하게 생윤 사문 하라고 권하는 건 위험하다고 봅니다. 만일 특별히 어떤 이권이 걸려 있는 게 아니라면 더더욱. 강사님 권유에 따라 생윤사문 선택한 사탐런 학생들이 두 과목 다 1등급 받는다는 보장은 없을 테고, 실은 대부분 못 받죠. 원망하는 마음이 안 생길까요?

    그래서 자꾸 표본 같은 거 따질 필요 없이, 효율성을 기준으로 추천하시는 게 안전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사탐런으로 생윤 하는 자연계 학생이라면 효율성 측면에서 봐도 그렇고, 윤사가 원래 이런 자연계 학생들 체질에 맞는 과목인 점도 그렇고, 저 같으면 이런 것을 근거로 쌍윤을 권합니다. 생윤을 안 하더라도 윤사는 할 것을 권하기도 하고요.

    그 표본 따져봐야 어차피 어떤 과목이든 1-2등급 받는 학생들은 비슷해요. 정말 초월적 최상위권은 다르긴 합니다만. 그래서 표본 따져서 생윤 사문 권하시는 건 매우 위험하다고 봅니다. 분명히 처음부터 생윤 사문 1-2등급 받는 문과 학생들이 사탐런 하는 자연계 학생보다 못 보는 것은 아니거든요.

  • Zola · 758219 · 02/02 18:02 · MS 2017 (수정됨)

    누가 무슨 조합을 추천하든 그 결과는 당연하게도 보장 못하니까 저도 이런 저런 자료들을 보여주면서 제시합니다.
    쌍윤 추천하는 분들은 쌍윤이 좋은 이유를 제시하면 되는 거고,
    다른 조합을 추천하는 분들은 다른 조합이 좋은 이유를 제시하면 되는 겁니다.
    제 유툽 댓글에 쌍사 추천하는 분도 있던데 그런 것은 각자 알아서 하면 되는 거겠죠.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고 봅니다.(제가 너무 쿨한가요?ㅋㅋㅋ)
    덧붙임. 영상 주제의 전개상 사탐 조합에 대한 얘기가 집중된 것일 뿐입니다. 앞으로 영상 주제 계획상 사탐 조합에 대한 얘기는 없습니다.

  • 노베이스 Chan · 1218240 · 02/03 14:27 · MS 2023

    대학 어디 재학중 이신가요?

  • Zola · 758219 · 02/03 14:41 · MS 2017

    저요^^??

  • 노베이스 Chan · 1218240 · 02/03 14:48 · MS 2023

  • Zola · 758219 · 02/03 15:45 · MS 2017 (수정됨)

    저는 강사인데요....대학생이 아니에요
  • 노베이스 Chan · 1218240 · 02/03 15:59 · MS 2023

    출신 대학이 어디신가요? 아님 그냥 고등학교 졸업하고 바로 강사쪽으로 들어가신건가요?

  • Zola · 758219 · 02/03 16:21 · MS 2017 (수정됨)

    서울대학교 사회교육& 동대학원 졸입니다.

  • 제발살려주세요 · 1187219 · 02/04 02:06 · MS 2022

    선생님 영상에서 윤사가 제1선택인 사람은 쌍윤하셔도 된다고 하셨는데 .. 혹시 그러면 제가 23,24,25 모두 윤사 응시 했고, 24,25는 둘다 1등급을 받아내긴 했는데 둘 다 약간 불안하게 받아낸 느낌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딱히 마니아라서 계속 했기보다는 현역 때부터 어쩌다보니 한 느낌이 있긴합니다. 그래도 해왔으니까 라는 생각으로 원래는 25때 정법에서 벽을 느껴 정법만 생윤으로 바꿔보려 생각중인데 혹시 이런 경우에도 생윤 사문을 추천하실까요 ? 아니면 윤사 믿고 쌍윤 해보는 거 추천하실까요 ?

  • Zola · 758219 · 02/04 11:15 · MS 2017

    정법서 무슨 한계를 느꼈을까요?? 님 윤사만 보면 쌍윤 괜찮을 것 같습니다만..^^
    열공즐공대박

  • Dakais · 1274918 · 02/04 12:17 · MS 2023

    안녕하세요 올해 사탐런으로 사문을 했는데 표분석&계산 파트가 매우 재밌었고 결과도 잘 나왔습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정법과 경제중에서 고민중이었는데 이런 경우에도 추천 안하시나요?? 인원수때문에 정법 선택할거 같긴합니다

  • Zola · 758219 · 02/04 12:38 · MS 2017

    정법하세요. 생윤ㅡ사문은 할 거 없는 분들에게 좋다는거지 님은 할 게 있는데 굳이 생윤할 필요는 없을거에요. 다만 정법은 사문보다는 표가 적고 암기량이 많아서 사문보다는 더 문과틱할거에요^^ 열공즐공대박

  • Serenapuer · 1248700 · 02/06 15:18 · MS 2023

    이제 고 3 되는 이과 학생입니다. 탐구 하나는 지구를 할 예정이고 사탐런을 진지하게 생각했어서 고 2 모의고사라 쉽긴 하지만 6,9모에서 각각 생윤, 한지를 쳐서 38점 2등급, 45점 1등급을 받았었습니다. (따로 공부를 한 적은 없었고 어릴 때 와이책 같은 걸 많이 봐서 한국지리 관련해서는 배경지식이 조금 있습니다) 운도 좋았던 것 같긴 하지만 이정도면 공부 조금만 하면 1등급 고정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한국지리를 선택하려 하는데 괜찮을까요?

  • Zola · 758219 · 02/07 00:05 · MS 2017

    제가 유투브에서도 말했는데 그런 판단은 좋지 않은 판단 같습니다
    한국지리를 선택하지 마라가 아니라 판단의 근거가 잘못되었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지식을 측정하는 사탐 시험의 결과를 예측한다는 것은 연관성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차라리 생윤, 한지 모두 조금 공부해 본 후에 결정하는 것이 어떨까 싶네요.
    다만, 현 상태이면 한국지리에 대한 진입 장벽이 낮은 상황입니다. 그런데 진입 장벽이 낮다고 해서 님의 출구가 1등급 또는 만점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겁니다.
    열공+즐공=대박!!!

  • Serenapuer · 1248700 · 18시간 전 · MS 2023

    이과를 선택하긴 했지만 통사도 1등급이었습니다! 그리구 암기하는 것에도 크게 거부감이 없구요

  • Zola · 758219 · 18시간 전 · MS 2017

    그러면 상관없어요. 한지가 더 나을 수도 있을겁니다. 근데 한지는 만점에 수렴하셔야합니다. 열공즐공대박

  • Zola · 758219 · 02/07 00:10 · MS 2017

    하나 더. 고2 모의고사랑 평가원은 질적인 차이가 납니다. 고2 모의고사는 무쓸모니까 그것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무얼 선택하시든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열공+즐공=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