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현역 수능 8등급>수능 1등급(20,21학년도) 성적 인증+공부법,질문
![](https://s3.orbi.kr/data/file/united/e79eaa11fb7d43b6d8fad2dfb40de5c3.jpg)
![](https://s3.orbi.kr/data/file/united/aca9092adb65e6a95e5dfbb240e0442e.jpg)
![](https://s3.orbi.kr/data/file/united/166f900c208ddf9a8f51cec8025defbd.jpg)
기본적으로 너무나 당연하지만 어떤 과목이던, 심지어 암기 과목으로 여겨지는 동아시아사 조차도
이해와 암기 둘 중 하나라도 빠지면 1등급으로 올라가기 정말 힘듭니다.
물론 과목마다 이해나 암기의 비율이 달라지겠지만 이해와 암기 중 하나라도 빠져서는 안됩니다.
또한 영어 1등급 2등급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등급을 받기 위해서 영어에 할애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고
세이브한 시간을 나머지 과목에 투자하는 것 또한 정말 중요하기에 효율적인 영어 공부방법이 너무너무 중요합니다.
단어,암기:
지금 적는 암기 방법은 단어 뿐만이 아니라 한국사,동아시아사,국어 단어 등 수능에서 암기가 필요한 모든 부분들에
적용을 했으며 수능 한 달 전에는 암기해야할 것들이 완벽하다 싶을 정도로 암기가 됐습니다.
제가 만든 방법은 아니고 이충권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방법을 보완한건데 번거로워도
무조건 이 방법으로 하시는 게 좋아요.. 변수가 없습니다
하루에 50개 정도를 외운다고 했을 때,
월요일에 새로운 50개를 외우고, 화요일에 새로운 50개를 외울 때
월요일에 외웠던 단어들을 같이 복습해야합니다.
수요일에도 50개를 외울 때 월 화에 봤던 단어들을 또 같이 복습을 해야합니다.
이런 식으로 토요일까지 쭉 외우면 토요일엔 새로운 단어 50개와 그 주에 봤던
250개의 단어들을 같이 복습하게 되는데 , 이렇게 글로만 보면
많은 시간을 단어에 할애하는 것 같지만 알려준 대로 제대로 복습했으면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일요일은 새로운 단어를 암기하는 게 아니라 기존에 봐 왔던 단어들을
전체 복습하는 시간으로 잡아야 합니다.
이렇게 단어들이 쌓이면 나중엔 일요일에 2~3천개의 단어들을 복습해야 될 때가 옵니다.
그때까지 알려준 대로 복습을 제대로 했으면 1주일에 한 번 씩 일요일마다 전체 복습을 안 해도
꾸준히 복습을 한 단어들은 머리에 남아요.
그럼 그 단어들은 스스로 판단해서 2주에 한 번, 3주에 한 번, 이렇게 늘리면 됩니다.
일요일에 전체 복습을 할 때, A4 용지나 이면지 등을 준비해서
기억이 안 났 던 단어들은 적어 둔 후에 다음 주에 매일 한 번 씩
새로운 단어 외우듯이 봐야합니다.
그리고 일요일에 다시 전체복습할 때 그 전 주에 적었던 용지는 버리고
다시 새로운 용지로 기억이 잘 안 나는 단어들 똑같이 적어서 다음 주에 암기하시면 됩니다.
---
듣기 :
듣기는 이어폰이나 헤드셋으로 하지않고 스피커로 하는 게 좋습니다.
수능 볼 땐 스피커로 듣는데 이어폰이나 헤드셋으로 듣는 거 보다 훨씬 부정확하게 들려요
듣기도 단어 노트에 필요한 것들 적을건데, 따로 듣기 노트를 준비하지말고
기존에 모르는 단어들 따로 적어뒀던 노트에 같이 적는 게 좋아요
안 그래도 볼 책과 노트들이 많은데 조금 쉽다고 여겨지는 듣기까지 노트를 새로 만들어버리면
잘 안 볼 확률이 높습니다
수특 듣기와 수완에 있는 듣기 위주로 하면 되고
필요하면 최근 기출 듣기까지 하시면 되는데 , 수특 듣기랑 수완 모고에 있는 듣기는
수능 전 까지 회독 상관없이 계속 하는게 좋습니다.
등급마다 하루 듣기 공부량이 달라지겠지만 매일 꾸준히가 중요합니다..
단어들이 어떻게 발음이 돼야하는지 알아야해요.
want to 라는게 보기엔 원트 투 지만 듣기에선
워너 , 원 투 , 원트 투 로 다 발음이 되기 때문에
각 단어마다 어떻게 발음이 돼야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공부하다가 want to 가 원트 투 라고만 발음되는 줄로 알았다면
노트에 모르는 단어 적듯이 왼쪽 끝에 want to 적고 오른쪽 끝에 발음들 다 적어서 단어 외우듯이 보시면 돼요
단어 외울 때도 그 단어의 발음을 잘 모르겠으면
네이버에 쳐서 발음을 들어보고 뜻과 함께 옆에 발음도 같이 적어서 외울 때 같이 봅니다.
듣기를 듣다가 완벽하게 안들리는 구문이나 단어들이 있으면
다시 들어보고 그래도 안들리면 배속을 0.9 , 0.8로 낮춰서 들어보고
그래도 안들리면 해설을 본 후에 노트에 적으면 되는데
어떤 문장이 안들렸으면
그 문장이 들리는 데로 문장과 함께 적고 단어 외우듯이 자주 보시면 됩니다.
기본 배속으로 계속 공부하다가 대부분의 문제들이 충분히 잘 들린다고 판단되면
1.1배속으로 들어보고 1.1배속도 잘 들리면 꾸준히 1.1배속으로 하다가
1.1배속도 완벽히 들리면 1.2배속까지 올려서 하면됩니다.
배속은 1.2배속까지만 올려서 듣습니다.
--------------
구문 :
구문은 보고 읽는 법을 배우는거지 문장들을 보면서
이게 무슨 용법이고 몇 형식이고 이런 걸 분석하고 배우는게 아닙니다
he has to study ~
에서 he를 보면 그라고 해석하고 have to 를 보면 ~해야한다 라고 해석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겁니다.
지금은 제가 가르쳐야하니 몇 형식이고 무슨 용법으로 쓰였고 등 다 알고 있지만
제가 수험생일때, 그리고 제 과외생들도 이런거 모르는 학생들이 대부분인데
성적 잘오르고 시험 잘봅니다.
문법도 구문을 위한 문법을 배우면서 시험에 나오는 포인트들만 딱딱 외우면 틀릴 수가 없어요
--------------
문풀:(문풀은 유형마다 공부법들이 조금씩 달라지고 하나하나 올리다보면 글이 너무 길어져
이것도 원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최근 기출들로 다시 한 번 정리해서 최대한 꼼꼼히 올려보겠습니다)
문풀은 본인의 근본적인 영어의 이해력을 늘리는 게 핵심입니다.
문제 유형마다 푸는 스킬들이 있긴 하지만 이런 스킬들은
본인의 이해력이 받쳐줄 때 의미가 있는 것들이에요.
일단 당연히 문풀을 하면서 모르는 단어나 구문들은 본인의 노트에 적어놓고
구문,단어 공부하듯이 공부해야하고
문제들을 풀 때 하나하나 최대한 완벽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야합니다.
(중위권 이하분들은 하나하나 완벽하게 이해하고 넘어가는게 어려우니 문제의 70프로만 이해해도 괜찮습니다 이런 식으로 많은 문제들을 하다보면 알아서 독해력은 늘거고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문제를 다음에 다시 봤을 때 보이는 것들이 훨씬 많을겁니다.)
영어 특유의 표현법을 이해하려면 그냥 많은 문제들을 하나하나 본인이 직접
머리쓰면서 이해하고 틀려보고 하는 과정을 겪어야합니다.
당연히 선지도 틀린 선지는 왜 틀렸고, 맞는 선지는 왜 틀렸는지 알아야 하구요.
낮은 등급이라면 문제당 최소 15분, 많게는 30분까지 시간을 잡고 계속 고민해본 후에
정말 모르겠다 하는 문제들을 해설이나 해강보고 이해하셔야지
그냥 대충 5분 풀어보고 어렵네 모르겠다 하고 해설이나 해강보고 이해하면
이해한 것 같지만 본인 실력은 안늘어요.
많은 문제들을 풀어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푸는 방법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실력이 어느정도 늘은 후 혹은 시험 최소 몇 달 전 부터는 문제 유형마다 시간 잡고 시간에 쫓기듯 문제를 풀어보는 연습을 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해요
--
다른 부분들에서 궁금하신 점이 계시면 편하게 질문 주세요!
+현역수능 , 세지3 , 동아시아사 ,수학, 한국사 노베에서
수학 (6 , 9모1 수능2)
세지 50 / 동사 47 / 한국사 1 받아서 영어만큼 자세히는 아니지만
인강이라던지 간단한 공부법도 필요하시면 알려드리겠습니다
과외 등 문의는 쪽지나 채팅 등으로 연락 부탁드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방학동안 알파테크닉 수1,2 2회독 생각의 질서 미적분 알파테크닉 미적분 2회독...
-
펑크가 아니라 의반들 시험만 보고 빠져서 다같이 점수만 낮아진거로ㅋㅋㅋ
-
어캄? 원래 이 난이도였나 하 70점 못넘길거같은데
-
2월달엔 독서 할게 없는데 뭘 하면 좋을까요
-
메디컬에 인서울상위권 대학이 널렷는데 어느 대학이든 대학합격글 올라오면 다들 진심으로 축하해주는듯
-
현역 사설 응시 2
현역 고3입니다. 현역이 현장에서 응시할 수 있는 사설 모의고사는 없을까요?...
-
남자 공대 여자 예체능 이런거면 사귀기 빡셈?
-
보통 한의대 노리고 가는걸까요?
-
사실이 믿기지가 않음 고뽕 치사량인데 이거 언제쯤 없어짐.. 지금 한시간마다 합격증...
-
ㄷㄷ
-
대학영어 2
제 과의 커리큘럼을 보니까 대학영어가 필수인데 많이 어려운가요 ..? 수능 영어...
-
알고리즘으로 윤도영 영상 떴는데 갑자기 궁금하네 찾아봐도 안 나오기도 하고
-
새기분 독서 고민 중 인데요 강기분 독서는 개학 전 완강 예정입니다 독서도...
-
과탐 선택 질문 1
물리를 하면 무조건 망하나요??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수학으로 최저 0
수학으로 최저 준비할 때 쎈B 한번씩 풀어보는거 ㄱㅊ나요 기출 돌리기 전에 함 할까싶은데
-
?
-
우웅
-
제주대학교 수의예과 25학번 새내기를 찾습니다! 안녕하세요, 25학번 신입생...
-
어그로 죄송합니다 국가장학금 총액 191만 나왔는데 국가장학금이 갑자기 많이...
-
전기장판키고이불덮고낮잠때리고싶다
-
ㅇㅂㄱ 4
ㅇㅅㅇ
-
특정안당하는법 9
동년배들이 오르비 안 할 나이에 오르비를 하면 됨 글에서 쉰내난다는 나쁜말은 ㄴㄴ
-
가질 수 없는 사람이 있어..
-
뻘글 1
제목부터 뻘글인데 이걸들어와?
-
가능한가요?? 아직 한 개 대학 추합 기다리는 중 입니다 등록금 반환은 되는걸로...
-
송도유배 불편한점 하나 14
주변에 씹덕질 할거리가 없음요 굿즈샵 상시방문 없이 1년 어캐버팀 나도 신촌갈래...
-
도와주세요 1
1. 1년장학금+행정학과+ 교통불편 버스 1시간 2. 경영인텔(경영+코딩) +...
-
어릴 적-중딩 시절엔 약간의 중2병이라고나 해야할지 극단적 모더니스트처럼 이성을...
-
수학,화학,생명 가능함
-
첫글 3
ㅈㄱㄴ 히히
-
설인문 18
설인문갔는데 붙고나니까 ㅈㄴ 억울해요 경영경제 제외 다른 문과는 다 소수라 안정으로...
-
추합 질문 0
재가 학교 하나는 최초합이고 하나는 추합인데 촤초합 한 학교는 등록금을 12일까지...
-
님덜 1
n제하기전에 뉴런하는건가여?
-
헉
-
홍대 기계 3
예비 92번 붙을 수 있을까요? 작년 재작년 140 127번까지 돌았습니다
-
그리 좋은 대학은 아니지만 기분이 좋네요
-
한양대 인문 하위과 (관심있는 분야고, 가서 복전/다전할 생각이었음) 1번 추합...
-
인강 같은거 들을때도 사후적 이해는 그리 중요치 않다고 봄. 뭐 통화량 늘면 금리...
-
어제 충남대 예비번호 1번 받고 기다리는 중인데 진학사 점공에서 어제보다 한 등수...
-
홍익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자린고비 새내기들을 위한 홍익대 장학금 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홍익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홍익대생, 홍익대...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미리 하나 장만해두세요~~...
-
그래프 그리기나 미분적분 연습할만한 문제집이 있을까요?
-
수학 상하 1
수2 풀면서 수학 상하 부분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현우진 시발점 수학 상하를...
-
방구석에서 화상과외로 시간당 2.5이상을 버는 지금 최저받고 이 일을 더 할 이유가 있을까
-
고민이 있습니다 0
제가 편의점 알바를 병행하며 2026학년도 수능을 대비하고 있습니다만은 편의점 알바...
-
경희대,건국대 둘다 무슨 오징어 게임에서 1빠따로 탈락할만한 엑스트라 참가자 번호의...
-
수학 고1 5 -> 고2 3 -> 고3 평가원 고정 1 질받 사문 10모 3 -> 수능 1 질받
-
부모님 이혼하고 지원없이 4년제 학교댕기는데 스스로 벌고 나가서 생활하면서 힘들지만...
학습 자료 게시판에 올리려고 했는데 제가 올린 글이 다른 게시판에 올라간건가요?ㅜㅜ 제가 오르비를 잘 몰라서
와 대단..
17 18 19 년도 수능 영어성적은 어떠셨는지 여쭤봐도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