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이 궁금한 한국어가 있으신가요
0 XDK (+1,000)
-
1,000
-
우우우우ㅜ우
-
만약 정시 잘 안되면 밑도끝도없이 추락하는거고 수시 2년쓴거 존나아깝기도하고..
-
응애 18
응....애.....
-
ㅇ
-
건강검진&나사카 하나 더 만들기&휴학신청&군대 가져갈 충전기 구매 Vs 대전 또는 부산 여행
-
킹립국어원 ㅋㅋㅋㅋㅋ
-
가군 연시반 나군 설심리 다군 동국한 박고 배수의 진으로 3수할거임
-
폐급짓임?
-
뭐 어쩌라는거야 이 미친 오르비 사랑해요
-
나 은테 달래
-
인증 메타를 열거라 17
심심하구나
-
뻥이에요
-
비상사태 6
집에 바나나우유있는데 빨대가없음;;
-
혹시 몇분걸리셨나요들 25수능
-
걍 화작으로 편한하게 돌리고 1년 내내 봉바상한만 줘 패다가 수능 치나 안치나...
-
나에게자극을줘 일반적인걸로는 만족할수없어
-
습관성 오르비 증후군
-
인스타 돋보기 ㅈ망했네 11
이게 머임..
-
아야
-
정우성 “문가비 아들 친자 맞다...양육 책임 다할 것” 2
4년간 활동을 중단했던 모델 문가비(35)가 최근 출산 사실을 공백한 가운데 친부는...
-
논술에서 논술 100%로 전환되면 논술점수 컷 올라감? 0
가천대가 이번에 논술 100%로 바뀌었는데 이러면 논술 점수 컷이 올라가나??...
-
저는 23언매보다 24, 25언매가 훨씬 편하고 쉽게 느껴지는데 이런 스타일의...
-
명동으로ㄱㄱ
-
질문하세여 받겠습니다 25
그냥 안줄여서 써봄 질받 ㄱㄱ
-
서울대를 제외한 메이져, 인서울 의대에서 물1 응시하는게 더 유리한가요? 물2는...
-
좀 불안해서 다니긴 할 건데 거의 안 다니고 혼자 준비해도 될 수준이라고 하더라구요 어떤가요…
-
고1 겨울방학 2
내신이랑 모고성적 안 돼서 러셀 떨어졋거등요.. 집이랑 학원 병행하면서 공부하려는데...
-
가사 개 찌질하노 ㅋㅋㅋㅋㅋ
-
언제나 묵묵히 자기할일 열심히 하는 사람.. 누구나 한번쯤은 열심히하지만 우진쌤은...
-
진짜 아무것도 모르는데 기말 3주남음
-
지역인재 ㄱㄴ한데 서울 경기도 쪽 사는 사람이랑 지역 바꾸기 원함 그대신 주변에...
-
재밌게 봤었는데
-
언매100 미적96 인가 문관데 진짜지리네 ㅋㅋ
-
양념이랑 후라이드 중에 뭐가맞나요? 먹어보신분ㅜㅠ
-
소주2 맥주1
-
근데 원서철마다 느끼는게 은근 문과실수가 많다는거임 7
막 sky 인문까지는 이과가 다 먹을거같은 느낌도 들지만 이과들은 메디컬 공대 자연...
-
수학 등급컷 2
근데 역대 미적 2컷이 76보다 높은 적은 없엇는데 올해도 76 2 될 수 잇지...
-
서울대 학부대학 0
이 뭔가요 진학사랑 텔그랑 차이가 너무 심하게 나서… 지균처럼 생기부 40퍼 보는건 아니져??
-
강기분 부터 들을려고 하는데 문학,비문학,고전시가를 하나씩 완강하면서 뿌셔야함?...
-
유튜브보니깐 그러네 믿거임? 확실한분만 가천,명지 거의 인서울아니냐
-
가천대에서 논술 답안,체점기준 발표하잖아 근데 수학 풀다보면 풀이과정이 답안과...
-
지난주 일요일부터 13
오늘까지 안쉬고 술마셨어여 근데 주량이 맥주 한잔정도라 많이 마시진않음 ㅎㅎ 근데...
-
성능 좆되네 캬
-
이렇게 문제번호옆에 컴싸로 마킹해둔거 인식되서 문제되지는 않겠죠?? 진짜 너무...
-
https://orbi.kr/00070126963 언어는 항상 변한다
-
화작, 미적, 사탐 2개(정법, 사문, 경제 중 고민중)하고도 백분의 높게만 받으면...
-
Itq 질문 0
각과목 8개에서 1~3과목골라서 만점이500이고 점수별로 abc로 나누잖아요? 근데...
-
이정돈 해야 전설이라고 불리지 진짜 센스가 넘사야
-
사진은 25수능 올해 언매공부를못해서 9월에 화작으로 돌리고 올해 6,9평만 풀고...
범
아... 많고 많은 단어 중 하필.... 알 수 있는 게 없습니다. 얘는 고대에도 단음절이었을 거라서 그 어떠한 정보도 없음
아 범(tiger)의 성조가 상성이라는 점에서 고대 국어 시기 '*버Vㅁ(V는 모종의 모음)'이었을 가능성이 있긴 합니다. 어원을 알려주진 않지만요
ㅇㅎ
방귀
https://orbi.kr/00069789715/
"초 이" 님 대댓 ㄱㄱ
트림
윗댓
극한
극진할 극 極
한할 한 限
도달할 수 있는 한계. 끝점
음모론 할 때 음모
그늘 음 陰
꾀 모 謀
진짜 단어 그대로임. 그늘 즉 남들 몰래 꾀를 꾸민다
우짖다
우르-(소리를 지르다) + 지지다(지저귀다)
'우르다'는 '울-'로도 나타나는데 ㄹ의 경우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ㅈ 앞에서 ㄹ이 탈락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우지지다'가 '우짖다'로 축약된 겁니다.
오호라...
음차라기보다는 아무래도 애초에 normal이란 단어가 norm에서 왔다는 거부터 그냥 진짜 그 의미에 맞게 法線으로 번역한 거라고 생각됩니다.
석나가다
'석죽다(사람이 기운이나 기세가 완전히 꺾이다)'란 단어도 있는데 일단 같은 '석'일 거임. 이 '석'의 정체는 알 수 없지만 '기운이나 기세가 꺾인다'라는 점에서 '섟(불끈 일어나는 감정)'일 가능성이 있어 보임. '섟'과 '석'은 적어도 표면상 발음이 같으니까
일단 이건 보류
오
바투
밭- + -우
그 레전드 기출
실
'실'은 고대 국어 시절 '*시리' 정도의 2음절로 발음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어휘입니다.
일부 학자는 고대 중국어 絲(s ə/slɯ)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하는데, 그렇게 된다면 영어의 silk와 絲가 동원으로 추정되므로 '絲-silk-실'이라는 연결이 가능하게 됩니다.
사랑...
사량(思量)입니다. '생각하다'라는 뜻인데 생각하기 때문에 그 대상을 아끼는 것이고 곧 사랑한다는 의미로 확장이 된 것이죠.
찌개
보통 어원적으로는 '찌-(steam) + -개(명사 파생 접미사)'로 봅니다.
삐지다
'삐죽'의 구성이 '삐지-+-욱'으로 분석되곤 하는데 즉 '삐지다'의 본래 의미는 '마음이 토라지다'가 아니라 '물체의 끝이 조금 길게 내밀려 있다' 정도였고 '마음이 삐죽하다 내지는 뾰족하다' 정도의 의미에서 현재의 '삐지다'라는 의미가 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돌 (첫댓에서 말씀하신것처럼 정보가 없으려나요)
우선 '돌'의 경우 ㅎ 종성 체언이었기 때문에 고대 국어에서는 '*도락'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기서 2음절의 모음이 탈락하고 ㄱ이 ㅎ으로 마찰음화를 겪으면 '돓'이 되는 거죠.
대부분의 ㅎ 말음 체언의 ㅎ 부분 그러니까 기원적으로는 '모종의 모음 + ㄱ'이라는 부분은 접미사로 여겨집니다. 그러니 결국 어근은 '돌'이라고 볼 수 있는데 기존 학자들은 이 '돌'을 '돌다'와 엮곤 했습니다. 고대국어는 보통 음절이 많았을 것으로 여겨지며 특히 상성(성조)의 경우 음절 축약으로 여겨집니다. 즉 '돌다'는 고대 국어 시기 '돌-'이라는 단음절이 아니라 '*도로-' 정도의 2음절이었을 수 있습니다. 이 2음절 어간에 모종의 접미사 '-ㄱ'이 붙어 '도는 것'이라는 말이 형성됐다고 보는 겁니다. 돌이 데굴데굴 굴러간다는 점에서 이러한 어원으로 추정하는 거죠. 마침 '돓'과 '돌-' 모두 성조가 상성이라는 점도 그 근거가 됩니다.
"I believe that Martin is right and there is an internal etymology for this word: MK :twol- ‘turn’ (intr.) < PK *twòló ‘pebble’ < ‘that which rolls’ (1996: 36)."
Vovin(2009).
와웅 그런 디테일이..!
옛날에 국어학가망없나 님인가요
허거거거걱
나무
'나무'는 중세국어 시기 ㄱ 곡용 체언이었는데 그렇기 때문에 고대 국어 시기에는 '*나ᄆᆞᆨ' 정도였을 수 있습니다. 윗댓에서 얘기했듯이 이 'ㄱ' 부분이 접미사일 여지가 있는데 이 '*남'이라는 거 자체가 식물을 나타내는 어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나물(<ᄂᆞᄆᆞᆯ)'은 '*ᄂᆞᆷ'에서 파생된 말로 여겨지는데 이 '*ᄂᆞᆷ'과 '*남'이 동원이라면 풀이나 나무 등 모두 고대국어에서는 한 명칭으로 퉁쳐서 불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톺아보다
'톺-+-아 보다'의 구조인데요 이 '톺다'라는 건 사실 '톱'에서 왔습니다. '톺다'의 본래 의미는 '톱으로 눌러 긁어 훑다'인데 이 '긁어 훑다'라는 부분이 '더듬다', '뒤지면서 찾다' 정도의 의미로 확장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방언은 그 형태 및 음운이 매우 보수적인데 육진 방언의 경우 '톺다'를 '톱다'라고 합니다. 모종의 이유로 ㅂ이 ㅍ으로 격음화된 겁니다.
짜집기가 아니라 짜깁기가 표준어던데 그럼 짜김기는 어디서 나온말이에요?
'짜김기'요...?
졸다
중세국어 시기 'ᄌᆞ올다'로 쓰였는데 방언형에 ㅂ이 보인다는 점에서 '*ᄌᆞ볼->*ᄌᆞᄫᆞᆯ-'의 변화를 겪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ᄌᆞ볼다'라는 말이 '자다'와 관련이 있다고 흔히 생각됩니다.
그래서 일부 의견으로는 '자다'와 쌍형어간으로 '*ᄌᆞ다'가 있었고 이 '*ᄌᆞ다'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ㅂ-이 붙어 '*ᄌᆞᆸ다(졸리다. 잠이 오는 느낌이 들다)'라는 형용사가 만들어지고 여기에 품사를 바꾸지 않는 접미사 '-ᄋᆞᆯ-이 붙어 '*ᄌᆞᄇᆞᆯ다>*ᄌᆞ볼다>*ᄌᆞᄫᆞᆯ다>ᄌᆞ올다>조올다>졸다'라는 변화를 상정하기도 합니다.
쉽게 요약하면 대충 '자다'에서 파생된 형용사라는 얘깁니다.
적독
摘讀 말씀하시는 거죠?
딸 적 摘
읽을 독 讀
손으로 따다 즉 읽을 것만 뽑아 가면서 읽는다는 뜻입니다.
책 쌓아놓고 안읽는단 뜻을 가진 적독도 알수 있을까요?
그 적독의 적은 적분의 적이랑 똑같아요
쌓을 적(積) 자를 씁니다.
진짜 한자 그대로 쌓아서 읽는 건데 일종의 반어법처럼 쓰인다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바다
우선 '바다'는 '바닿'계와 '바ᄅᆞᆯ'계 이 두 가지가 있는데 전자는 '*바닥'으로, 후자는 '*바ᄃᆞᆯ(ㄷ>ㄹ의 약화)'로 재구됩니다. ㅎ 말음 체언의 ㅎ 부분은 접미사일 가능성이 있고 '*바ᄃᆞᆯ'이란 형태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니 둘은 아마 동원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흔히 일본어 'わた(wata)'와도 동원으로 추정되곤 하는데 한국어에서 일본어로 간 건지, 일본어에서 한국어로 온 건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부엉이
'부헝이'로 쓰였는데 '부헝'은 보통 의성어로 봅니다. 부엉이의 울음소리를 딴 말
딱밤
꿀밤은 이런 설이 있긴 한데 '딱밤'은 잘 모르겠네요. '꿀밤'이란 용어가 퍼지고 나서 의성어 '딱'과 합쳐진 걸지도
https://munhwa.com/news/view.html?no=2019053101033806000001
임
'임'은 중세국어 시기 '님'이었는데 존칭접미사 '님'과 동원입니다. 또 고대 국어로 거슬러올라가면 '*니림'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 주인을 뜻하는 말로 '님금'의 '님'이 원래 이 'nirim'입니다.
아이요!
'아이'는 중세국어 시기 '아ᄒᆡ'로 쓰였는데 이 때문에 兒孩와 흔히 엮이곤 하나 兒의 초성이 중세국어 시기 반치음이었다는 점에서 잘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이 경우 고유어설을 내세우며 '아기'와 관련이 있을 거라고 주장하곤 합니다.
포도시
'간신히'를 뜻하는 전라 방언으로 '포도시' 말고 '보도시'도 있는데 '포도시'는 '보도시'에서 격음화를 겪은 형태입니다.
이 '보도시'는 '빠듯이'와 동원어로 '빠듯하다'의 ㅃ은 본래 ㅂ이었고 ㅏ는 아래아였다는 점에서 전라에서는 아래아가 ㅏ가 아니라 ㅗ로 변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 사진은 송미영(2022)의 일부입니다.
엄청 세세히 적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딸딸이' 되나요? 훠훠...
딱 보시면 알겠지만 의성어에서 온 말입니다. 왜 '탁탁이'가 아닌진 모르겠지만 근데 또 생각해 보면 딸딸처럼 들리기도 함
계집
'계집'은 원래 '겨집'이었는데 흔히 '겨-(겨다. 있다) + 집'으로 봅니다. 이 '겨-'는 '겨시다(계시다의 옛말'에서 보이는데 아무래도 시대상 여자들은 집에만 있었으니 이런 식으로 조어됐다고 여겨집니다.
참고로 이와 비슷하게 '아내'도 있는데 '안해'로 쓰이던 '아내'는 '안(Inside)'에서 온 말로 여겨집니다. '안'은 ㅎ 말음 체언이라 '않'이었거든요
남편을 바깥사람이라고 부르는 것과 정반대죠
노랗다 빨갛다 파랗다 같은 표현은 쓰는데 왜 초랗다 주홯다 같은건 안 쓸까요?
노랗다, 빨갛다, 파랗다 등은 '노르다/누르다', '붉다', '푸르다' 등 고유어 용언이 있는 반면, 초록이나 주황은 草綠, 朱黃 등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