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예성(유성국어) [571544]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24-08-02 18:48:53
조회수 8,280

[칼럼] 국어, 헷갈리는 선지를 줄이려면

게시글 주소: https://cuttingedge.orbi.kr/00068859379







헷갈리는 건 메모(표시)로 정리한다.




국어를 멋있게 푸는 방법은 간단해요.


눈으로 한 번에 정독하고, 



선지에도 아무 표시를 안 남기고 답만 딸깍! 고르는 거죠








그래서 많은 중하위권 학생들(3~5등급)이 


이러한 '간지나는 풀이'를 따라하려고 애씁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과연 이게 실전에서 잘 먹힐까요?


물론 케바케겠지만, 기본적으로 저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수학 천재가 암산을 하는 걸 보고




출처_디글 유튜브(유퀴즈)


엇.. 나도 수학 잘하려면 이제 암산을 해야겠다!!




위처럼 생각하시는 분은 없겠죠.






불행하게도,


대다수의 우리는 천재가 아니에요.


괜히 멋있다고 따라 하다간, 점수를 잃을 수 있다는 거죠.





수학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누군가 만약 수학 시험을 볼 때 암산으로만 풀겠다 하면, 여러분은 뭐라 하실 건가요?




수학 시험을 암산으로만 풀려 하면,


평소 점수의 반도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모든 수식을 머리로만 처리하려고 하면 


풀이 과정을 '기억'하는 데에 에너지가 쓰여,


정작 풀이 과정을 '이해'하고 '추론'하는 데에 에너지를 쓸 수 없을 테니까요.






https://www.youtube.com/watch?v=1EScy2kyjgY


제가 좋아하는 영상 중 하나인데요.






영상을 보시면 알겠지만, 


국어를 잘하는 사람들 중에 표시나 메모를 남기면서 푸는 사람도 많답니다.


저도 마찬가지구요.




표시나 메모를 남긴다는 게 단편적으로는 시간이 더 걸리는 것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정확성을 높여 시간을 아끼는 전략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오해는 마시죠.





제 말이 무지성으로 아무런 표시나 메모를 많이 남기란 뜻이 아닙니다.


시험장에서도 표시나 메모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이지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표시와 메모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요?


저는 다음의 3가지 전략을 제안합니다.










전략 1. 일단 머리로 처리해야 한다.



위에서 언급했듯 표시나 메모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일단은 독해의 기본 조건인 '생각'을 먼저 해야 해요.


즉, 손부터 휘갈기지 말고, 일단은 머리로 최대한 처리해봅시다.




파악할 건 파악하고, 이해할 건 이해하고, 연결할 건 연결하는 거죠.


그렇게 일정 생각을 하고 난 뒤, 기억의 보조를 위해 표시/메모를 사용하는 겁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정보를 마주했다 합시다.













윗글을 읽으면서 우리는


아, <과두제 = 소수에게 권력이 집중된 체제>구나


라는 걸 이해해볼 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만약 이 정보가 휘발될 것 같다면 어떡할까요?


표시나 메모를 남겨주는 겁니다.


그리고 나서 필요할 때 돌아와 이 표시/메모를 활용하여


과두제가 무엇이었는지 복기해주는 것이지요.





최소한의 생각도 없이 표시/메모만 남발하게 된다면,


지문 자체를 필사하고 있거나, 모든 문장에 밑줄을 긋게 될 것입니다.











전략 2. 중요한 정보일수록 표시/메모를 남긴다.



중요한 정보란,


출제자가 선지화하기 좋아하는 정보,


그 중에서도 정답 선지의 단서가 되기 좋은 정보,


출제 포인트를 말합니다.




저는 수업에 다음과 같은 정보를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독서 - 개념의 정의, 두 대상의 차이점, 인과 관계

문학 - 인물이 처한 상황, 인물의 내면 심리



독해 단계에서 


이러한 정보들을 미리 이해하고 처리하여 확보해두는 것은


문제 풀이 단계에서 큰 힘을 발휘할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내가 이 정보를 제대로 기억하지 못한다면?


아무래도 선지 판단에 장애가 될 가능성이 높겠죠.


그래서 표시나 메모를 남기는 게 필요합니다.


예를 들기 위해, 24 수능 지문을 보겠습니다.





실제 저는 지난 수능을 풀면서 위와 비슷한 표시를 남겼는데요.


그 이유는 왕안석과 오징의 차이(→중요한 정보)가 나타났지만


제가 이걸 기억할 자신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처리할 정보가 많았던 거죠.



저는


'왕안석은 도를 가변적, 오징은 도를 불변적으로 봤구나. 중요한 포인트겠따!'


라는 생각을 했으나, 이를 기억할 자신은 없으니


위와 같은 표시를 남긴 거죠.




그러니 이 선지도 말 그대로 '순삭'할 수 있었지요.






참고로 이 선지는 오답률 1위 문제의 주요 선지였습니다.










전략 3. 서술 구조가 단순할수록 표시, 복잡할수록 메모로 정리한다.



서술 구조가 단순할 때는 굳이 메모로 정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가령, 다음과 같을 때지요.


2409인데요.



1차 압전 효과와 2차 압전 효과의 차이를 


머리로 파악하기는 했지만,


굳이 기억하거나 메모하고 싶지는 않아요.


왜냐? 딱 봐도 서술 구조가 단순하니까요!


기억을 하기 보단, 그냥 아래와 같이 표시만 쳐두면 충분할 겁니다.





독해나 문제 풀이에서 필요할 때 돌아와 볼 수 있도록 깃발을 꽂는다 생각하시면 편해요.







그런데 아래와 같이 서술 구조가 복잡해지면 어떨까요?




2506입니다.


이와 같이 서술 구조가 복잡할 때는 


표시만으로는 크게 효과를 얻기 힘듭니다.


돌아와서 봤을 때 다시 독해를 해야 하거든요.



이럴 때는 메모가 낫습니다.


역시 일단은, 머리로 최대한 처리해봐야겠죠. 


그럼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할 수 있어요.




아~~ 조건문에 포함됐을 때에도 판단적 본질은 자체는 있지만, 그게 '발현'되지는 않는다는 거구나!




라고 생각하는 거죠.


그러나 이걸 기억할 자신은 없어요.


그러니 다음과 같이 메모를 남기는 거죠.








시험지 여백에 이렇게 메모해놓으면


선지 판단 시에 실수를 훨씬 줄일 수 있을 겁니다.






















4줄 요약


1. 국어도 수학처럼 표시/메모를 동원하며 풀자. 그래야 안 헷갈린다.


2. 다만 머리로 최대한 처리하고 표시/메모를 동원하자.


3. 기억하기 힘든, 중요한 정보(출제 포인트)는 웬만하면 표시/메모를 남기자.


4. 구조가 단순하면 표시, 복잡하면 메모로 정리하자.








좋아요와 팔로우는 칼럼을 쓰는 데 큰 힘이 됩니다 :)




0 XDK (+1,000)

  1.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