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211 노베일기 40일차
오늘 한 것
일리 9~22강 보기.
어휘끝 영단어 중학 어휘 200개 한번 쓰기
일기
흐음. 오늘은 뭔가 열심히 한 듯 안 한 듯 그런 날이다.
인강을 무려 14강이나 봤지만 집중해서 봤다기보단 최대한 스트레스 관리를 하며 흘려들었다.
대략적인 줄거리를 인식한다는 느낌으로 봤기 때문에
머릿속에는 세부적인 사실보다
절과 구 그리고 동사의 시와 태 그로인한 문장구성에 대해 대략적인 내용을 익힐 수 있었다.
결국 통틀어 하는 이야기는 같았다.
절과 구 동사가 형태를 바꿔 명사나 형용사 부사로서 역할을 하게되고
그로인해 문장이 길어지고 문장 성분에 맞게 나열된다는 것.
최대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큰 줄기를 잡으라는 내용이었다.
고 1모의고사를 병행하며 세부적인 사항의 암기가 같이 이뤄져야겠지만
일단은 빨리 돌려서 얻은 것이 꽤나 많다고 생각한다.
막연히 영어를 무서워했었는데 생각보다 마음에 짐을 덜었다.
내일은 중학 영단어 500를 직접 써보면서 워밍업을하고 원래 계획대로 나비효과와 시발점 미적분을 같이 진행해야지.
아 그리고 일기를 쓰기 전
조언? 비슷한 것을 받았다.
노베가 과탐과 미적을 하면 수능 망한다. 현실파악 하라는 이야기였다.
사실 듣고 좀 긁혔다.
사실 그렇게 보일만하다 생각한다.
나와있는 실력에 비해 목표가 너무 높긴했다.
하지만 내 성적에서 사탐을하고 확통을 한다해서 뭐 달라질까?
그리고 그 사람은 내가 사탐과 확통을 하면 결과적으로 몇 등급까지 올릴 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조언하는 걸까?
'현실적'으로 본다면 사탐이랑 확통을 한다해도 평균 4~5등급이 아닐까?
나는 공부를 시작하면서 당장의 실력을 파악하려고
2월 말 자체적으로 쳤던 시험에서
나는 평균 6등급 정도의 점수가 나왔다.
그리고 몇 일 전 확인해본 결과 내 현역 당시 수능 점수는 국수영탐탐 해서 79999였다.
그때 국어는 열심히 풀었던 기억이 있는데 나머지는 기억에 없으니 찍었는지 안풀었는지 알 수 없다.
이 점수에서 남들이 생각하는 현실적인 목표는 뭘까?
공부를 포기하거나
평균 4등급만 나와도 성공이라 생각하는게 현실적인 사람의 판단이 아닐까?
그리고 그 사람이 말했 듯 99%의 사람은 3등급도 못한다는 말에 나도 일부 동의한다.
하지만
(본인이 뭘 믿고 그러는지 모르겠는데 지금 글쓴거 보면 노답이에요; 객관적으로 자기 위치를 판단 못하시는데 이대로 가다간 6 9모 기출도 100퍼센트 1회독도 못하고갑니다 잘해봐야 수능 날에 1회독 하고 수능보실거같은데)
이 말은 정말로 부정한다.
난 나 자신을 믿는다.
그리고 왜 꼭 기출을 회독해야하지?
허수이긴 하지만 나는 내 위치는 잘 판단하고 있다.
물론 수능 때까지 1등급은 힘들다 생각하지만
내가 생각하기에 6월에 평균 3등급을 맞는 것은
남은 시간과 진도를 생각했을 때 충분히 가능하다 생각한다.
그리고 수능까지 평균 2등급도 충분히 가능할거라 생각한다.
써 놓고 보니 솔직히 객관화 못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느낌은 들지만
나는 그냥 내가 하려고 맘 먹으면
할 수 있고 정말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성적으로 증명하는 수 밖에 없나.
후....... 아무튼 그냥 좀 화가 났다.
2일 동안 일리를 한번 다 봤기 때문에 나름의 성취감을 느꼈었는데
마지막에 뭔가 오물을 밟은 기분이다.
어차피 시작했다면
현실성이 있던 없던 그냥 하는거다.
의심은 사람을 좀먹는다
그리고 의심은 추가로 에너지가 낭비시킨다.
그러니 그냥 할 수 있는가 스스로 객관적으로 판단을하고
판단 결과 가능하다면 그 것을 믿고 하는거다.
지금 하는 영어 또한 일리를 하기 전까지 IS가 무슨 뜻인지도 몰랐던 나다.
당연히 2등급을 받으려면 얼마나 공부를 하고
어느 수준에 도달해야 하는지 모른다.
아는 것은
못한 사람도 많지만
꽤나 많은 사람들이 단기간에 영어 성적을 2등급까지 올린 경험을 봤다는 것.
그러니 나도 가능하다는 것 뿐이고
남들이 하는 것은 나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정말 6월 모의고사에서 평균 3등급을 맞아서 증명해야겠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반고에서 대학포기하고 회사다니다가 공부에 욕심이 생겨 다시 도전해보려고해요...
-
궁금하다뇨
-
나군 시립대 기다리고 있는데 가군에 시립대 자전 쓴 사람이 많아서 자전이 얼마나...
-
경희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경희대25][필수교양 소개 및 수강신청 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경희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경희대학생, 경희대...
-
국어 4등급 화1 3컷 허수도 구원해줌 건동홍 화학과는 되나 어디 화학과까지 ㄱㄴ?
-
??
-
합격인증이 넘쳐나서 정신건강에 안좋아
-
설의 추합된 분 2
물2지2에 국어 1개 틀리셨다함
-
CC 2
일반인 : 캠퍼스커플 좋네 롤대남 : 챔피언이안움직여 오르비언 : 서울대 시발아
-
1차 때 9명 빠졌는데 2차 때 1명 빠짐 다들 상향인거냐ㅠㅠㅠ
-
산행 1
-
오늘 행복했던거 1
바로 다섯개 살까 하다가 두개만 삼 ㅎㅎ
-
시대컨 1
수학 공통은 공통 강의 안 들으면 못받나요?
-
뭐하는사람이야
-
추합 착잡하네여 0
8명 뽑는과에서 예비4번 -> 예비2번 가능성 없는거겠죠?
-
고려대 예비 2
고려대 예비 몇명빠진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예비번호가 안줄던데
-
책임감이 너무 없어
-
언미생지 대충 아시는 분 있나요
-
김기현샘 파운데이션,킥오프,기생집2.3점 정도만 해도 아이디어들어가기 충분한지...
-
국어가 에바긴 한데
-
이거뭐임? 내가 200번대인디? 전화 안왔는데 오류겠지??
-
막 뭔가 강렬한 느낌이 오긴 하는데 내가 느낀 깨달음이 그냥 내 무지로 인한...
-
18명 뽑는과 1차 추합 6명 빠졌으면 가망 없겠지? 0
예비 36번 됐는데.. 재수준비 하면 되나
-
반수를 염두에 두고있어서 2학기는 휴학할 예정입니다. 일단 중앙대 경영을 간다면...
-
중학교부터 놓은앤데 뭐시키지 이투스강사면 좋음
-
연대 조발 1
연대 2차 추합때 무조건 될 거 같은데 2차도 조발하나요 ㅠ 하루씩 당겨지지 않을까요?
-
중대 솦웨 진학사 최초예비 393번까지 추합 돌았다는 건가요? 아니면 예상이라는 건가요?
-
못보나
-
어 그래 형은 최상위권 아닌데 사탐런 안 해
-
최초 예비기준으로 몇 번까지 돌았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10등 이내였나봐요 그랴듀 수의대로 갈 것 같네요~
-
충남대 0
충남대 농생명융합학부 172.21점 첫 예비39점이면 붙을만한가요?
-
저희 부모님이 어차피 더 높은대 갈 거니가 반수허락해주신다는데 왜 쌩재수는 허락을...
-
부산대 밀양캠 0
밀양캠 it응용공 671.50점이면 붙을만한가요? 첫 예비14번
-
T1 1
시작한다 ㄷㄱㄷㄱ
-
미적분 파데킥오프->아이디어 하려하는데 파데가 가장 기초강의인걸로 아는데...
-
홍대 기계 0
1차 18명 빠진거 실화냐 이제 예비25번인데 ㄹㅇ 떨어질수도있겠는데 빵 아니네
-
이따위 성적으로 외대도 되게 해주시네요
-
우제 잡으러 가보자잇~~~~~~
-
전화추합 일정이랑 지금 붙은 학교 오티랑 겹치면 어떡해? 0
오티 6시에 끝난다고 되어있고 전화추합은 6시에 시작한다고는 하던데ㅠㅠ 일단 오티 가야하나??
-
히아ㅏㅏ
-
전 문제 몇가지 답 10
정의역을 이용하는 방법 Stella Artois님 답. |(a+b)/(a-b)| =...
-
ㅈㄱㄴ 연대 제외
-
또 수많은 롤알못이 생기는
-
도쿄 가면 6
할게 너무 많군
-
정시 2명 붙음 ㄹㅈㄷ 과외 지도 과목은 국어 수학 + 전과목 학습 스케쥴 관리...
-
한화 개떡되면 좀 빡칠지도
-
무슨맛일까
-
대학 수학 관련해서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커뮤 있나요?? 1
경제학과 학생인데 수학에도 관심이 많은데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습니다.
진짜 열심히 하시네요. 이런 노력과 열정을 쏟을실수있는 분이시라면 수능때 올1등급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_animated/023.gif)
앗! 1등급!이라니 좋은 말 감사합니다!언미화생님도 좋은 결과 있으실거에요!
1등급 꼭하고 싶은데 그 부분까지는 공부를 하면할수록 좀 힘들겠다 느껴서요.
미래에 내가 1등급을 맞아주길
화이팅합시다!!!! 같이..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할 수 있다!!정진합시다
ㅎㅇㅌ!
원래 증명하기전, 노력하는 단계에서 가장 많은 질타와 의심의 눈초리를 받게되죠. 하지만 그런것들은 '아 그렇구나 더 노력해야되겠네' 라고 형식적으로만 받아들이고 본인 할것에 묵묵히 집중하다보면 믿음을 쌓으실 수 있을꺼에요. 부정적인 생각은 가볍게 훌훌 털어버리고 정진합시다. 응원할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