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rewell[1] : 초전도치
약간의 변심으로, 간단한데 임팩트 있는 스킬 뿌려 놓고 가겠습니다. 은퇴선물..?
제가 풀이 칼럼을 올리지 않은 시점부터 만든게 많은데, 다 끌어안고 가려고 했다만, 저한테 무슨 느낌의 스킬들이 있었는지 적는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서요. 다 계산을 최대한 쉽고 빠르게 하는 방법론이었어요. 이 스킬은 과외 수업 도중 발견한 스킬로, 이름도 그 수업하던 학생이 이렇게 하자고 했습니다.
뭐 아무튼, length(Farewell)=3으로, 다음 글이 마지막 글입니다.
이걸 원래 쓰는 분이 계셨을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고.. 뭐 아무튼, 이제는 제가 글을 올려버렸으니, 산화수에서 산화수법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에 한해서 이렇게 풀지 않으면 손해가 생길겁니다. 원래 이렇게 풀던 분이 있던 없던, 이 풀이도 공론화가 된 풀이는 아닌 것 같기 때문에..
앞으로 이 풀이를 보면 어 초전도치 아니냐?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중요한 부분이 있는데요,
산화수법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에 한해서
산화수법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에 한해서
산화수법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에 한해서
이 방법은 초전도체입니다.
전하량 보존으로 풀 수 있는 산화수 문제의 경우 이 스킬을 사용하면, 전하량 보존을 사용했을때보다 계산량이 같거나 아주약간 큽니다.
이것만으로도 좋긴 합니다. 보통 전하량 보존이 너무 유리하거든요. 산화수법이 유리해 보이는데? 싶었는데 알고보니 전하량 보존이 더 유리했으면 지옥의 계산을 경험하신 학생들이 많을겁니다.
이해하기 쉬운 내용이니, 문제 하나로 끝내겠습니다.
그 전에 간단한 개념 설명을 하겠습니다.
우선 산화수법을 우리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봅시다.
산화수가 변화하는걸 화살표로 표현하고, 원자 A, B가 산화환원 반응에 참여한다고 생각합시다.
그럼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을겁니다. 다음 상황은, 원자 A는 산화수가 -1에서 3이 되고, 원자 B는 산화수가 4에서 2가 되는 상황입니다. 그러면 산화수와 계수를 맞추면...
A: -1 -> 3 (x2)
B : 4 -> 2 (x4)
이렇게 표시할 수 있겠죠.
바로 일반화 들어갑니다.
A: a -> b (x m)
B: c -> d (x n)
이런 산화수 변화 상황이 있다고 합시다. 이 식이 성립하려면
n(c-d) = m(b-a) 가 성립해야 할 겁니다. (산화 환원 여부를 몰라도 부호만 반대면 되겠죠?)
전개합니다.
ma + nc = mb + nd
이 꼴이 나오는데요, 다시 위의 예시를 들고와서 이게 뭔 뜻인지 살펴보면..
A: -1 -> 3 (x2)
B : 4 -> 2 (x4)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 대신,
-1 x 2 + 4 x 4 = 3 x 2 + 2 x 4
이런 식으로 왼쪽끼리 곱해서 더하고, 오른쪽끼리 곱해서 더하고.. 를 확인하는 식으로도 산화수 매칭이 성립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단 이것만 보면 별거 아닌데요..
이항이 가능합니다.
(이래서 이름이 초전도치)
뭔 소리냐면
A: -1 -> 3 (x2)
B : 4 -> 2 (x4)
이걸 A쪽은 -1을 이항하고, B쪽은 2를 이항합니다.
A: 0 -> 4 (x2)
B : 2 -> 0 (x4)
이러면 암산으로도, 이 산화수 매칭이 성립한다는게 확인이 가능하네요.
뭐 아직도 별거 아닌것 같습니다. 이 스킬은 문자가 포함되어 있을 때 그 진국이 나오는데..
이 문항 하나로 끝내고, 여러분들이 연습을 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 문제가 대표적인 "산화수법이 유리한 문제"인데요,
두번째 조건과 반응식에서 Y의 산화수를 확인하면 우선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X : ?(m으로 표현됨) -> +n (x1)
Y : +n-1 -> +n (x3)
그리고 세번째 조건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산화수 변화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X : +3(n-1) -> +n (x1)
Y : +n-1 -> +n (x3)
여기서 한번 암산으로 어떻게 이항 하면 이쁘게 풀릴지 생각 해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스포방지용 간격)
왼쪽에 n, 오른쪽에 상수를 몰아주는 편이 제일 좋습니다. 이러면 추가 이항이 안 생깁니다. 다음과 같이요.
X : 2n -> 3 (x1)
Y : 0 -> 1 (x3)
이제 (물론 암산으로 충분하지만)
2n x 1 + 0 x 3 = 3 x 1 + 1 x 3
이므로 n = 3입니다.
축하합니다. 이제 여러분들은 231114와 그 강화형 문제들을 암산으로 푸실 수 있습니다. 물론 굳이 암산으로 할 필요는 없고 위 처럼 정형화된 틀에서 이항시켜서 문제를 푸시면 됩니다.
한번 N제를 꺼내서 산화수법 문제를 풀어보면 231114보다 체감상 차이가 더 심할겁니다.
꼭 체화하고 쓰시길 바랍니다. 알고 모르고 시간차가 꽤 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의대가고싶어졌어요
-
무조건 1교시 강의를 잡아라 보통 대학생들은 늦잠자려고 1교시를 기피하지만 우리는...
-
얼버기 1
아님.
-
한번 써볼까했는데
-
2409 2411 2506을 겪고 선입견을 가져서 문학이 어려울거라 단정짓고 독서...
-
저 원래 검지 마우스였는데 하는 게임이 중지 마우스 아니면 너무 어려워져서 중지...
-
추합도는 순서 0
추합은 가<나<다 순으로 많이 돌죠? 기균이라도요
-
이메타는 참전포기함
-
그 12번인가 추론선지는 눈알굴리기로 안되지않음? 사실 이해해도 힘들거같긴함
-
아씨발 0
모의고사 리뷰 한글에 쓰다가 안드로이드 한글 뻗어서 30분전으로 도르마무됨...
-
술 약속 。◕‿◕。
-
선지판별이 핵심임 애초에 완전한 이해를 전제하고 내는게 아님 쟁점잡고 논리적 구조파악을 해야죠
-
언미물지 9모 31242 (91 96 84 42 42) 수능 21213 (84 88...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전국에 10장 있음.
-
알바 고민 0
목금토일 주4일 고깃집 홀서빙 알바하고 있고 시급은 12000원 받아요 가게 규모가...
-
수학 기출 5
수분감이랑 기출생각집 둘 다 하는건 별로죠? 보통 기출은 1권씩만 하나요?
-
궁금쓰 연상인지 연하인지
-
없는디…
-
다른 투과목에 비해서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연세독수리
-
흠흡
-
6모때 올1 받으면 최애가 사귀어 준다고 약속했다 생각하고 공부시작 ㅇㅇ
-
25수능 확통 15 20 21 22 24 27 30 틀렸는데요. 24 30은 실수로...
-
일반적으로 고3 영어 교육청과 평가원의 난도 차이는 평가원이 높은 편인가요, 아니면...
-
수학 N제 0
보통 몇 권씩 품?
-
제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그냥 국어 최상위권 학생들마다 푸는 방법이 달라서...
-
알아냈다 3
ㅅㅅ
-
존나 시려워
-
중앙대학교 도시시스템공학과 25학번 신입생을 찾습니다! 0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도시시스템공학과 25학번 신입생 단톡방 공지?️...
-
다들 어디갓서
-
추가합격 0
경쟁률이 전보다 낮으면 추가합격할 번호도 낮아지나요 ..ㅠ
-
식도에서 비명지르겠지... 앉아잇기힘들다.. 알바하고와서 5시간밖에못잤는데 밥먹고...
-
게임을 못하겠음 5
동적인 게임은 다 어려워
-
같이즐거운둠피스트해요
-
이친구문제를잘깎아야겠네
-
맞팔구 2
잡담태그 잘달고 그 잡담도 대부분 공부나 진로얘기입니다!!
-
특히 사문 1번 지문은 진짜 빡센데? ㄹㅇ
-
현역 정시 반수 2
현역 정시로 교차지원해서 성대 사과계 붙었는데요 빡센 과탐하고 문과 온 것도 그렇고...
-
보통 재수 안하나요?
-
ㅇㅇ 그렇다고하셈
-
힝구리핑퐁
-
삼수 고민 0
연경 붙을거 같아서 학교 등록해서 다니고 빨리 cpa 준비하려고 생각중이었는데 왜...
-
ㅈㄱㄴ 사려는데 이거 둘 다 사야하나요..?? 차이가 있나요
존경합니다 논화님 바로 개추 와바박 박았습니다
Goat...
ㅅㅂ 화학은 이런것까지 해야하는구나 역시 물리가 답이네
물리나 화학이나..
역시 수능 화학은
이런 기괴한거까지해야하나
잉 진짜 쉬운데 걍 이항하고 곱하면 끝나니깐..
화2 칼럼도 부탁드립니다
쉽고좋은데 댓글공작오지네요 저런거때문에 회학선택자 줄어드는거임
지금까지 올린 스킬중에 제일 쉬움ㅇㅇ...
그러면 화학이 ㅈㄴ어려워서 하면 안되는 과목같잖아요;
초전도치야 고마워!
진짜신기하네요
처음엔 어 은근 복잡하지 않나? 싶었는데 이항이 되는게 진짜 괜찮네요 좋은 스킬인듯 ㅎㅎ
초전도치야고마워
이게 개쓸데없는 지엽스킬처럼 느껴진다면 기출/n제 학습을 안해본게아닐까요
이거보다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도 없고 적용 방법도 간단하고 여타 강사들마냥 스킬 사용 조건 대충 규정해놓은 것도 아니고 스킬 사용시에 유의미한 시간절약이 가능하고
원래 과탐 영역에서의 스킬이라는 게 “훈련되면 특정 상황에서 무지성으로 적용”해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의미가 있는 것인데(평소에 사고력을 사용해서 푸는 데 걸리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그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스스로 생각을 안 해보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음
미지수가 있더라도 이항한 결과를 적어서 세로로 계산하는 것보다 산화수 차를 바로 계산하는게 더 빠르지 않나요..? 위 상황에서도 산화수 차가 2n-3, 1인게 바로 보이고요..
저문제가 쉬워서 그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