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저나 법정 4번 사례가
왜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이 되는건가요?
지문에는 공권력의 행사나 불행사가 있었다는 근거를 찾아볼 수가 없는데..; 혹여나 pc방 금연구역 지정을 강제한 행정청의 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이라 해도, 그렇게 되면 ㄱ보기가 맞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의문...
물론 권리구제형이다 라는 보기(ㄷ이었나..)가 아니게 되면 다른 보기중에 자명히 틀린 보기가 맞게 되서 고르긴 했습니다만.. ㄱ은 아직도 의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가보자 가보자
-
살지 말지 고민됨..
-
덕코가 필요해요ㅠㅠㅠㅠ
-
와 xxx보소 2
뭉탱이
-
가끔 2
다른 세상을 사는 것 같은 사람이 있음
-
마지막에 한비자 지문 읽었는데 현역 때 현장에서 다 맞은거 3개 틀리고 20분...
-
누나가 그러는데 회사에 40대 노총각 직원분이 카페에서 직원들끼리 있을때 저 말...
-
요새 입결 경북 1
모공이랑 메디컬 빼고 모든과 싹다 동건홍한테 발리지않나?? 지거국 고려해본적이 없어서 모르겠네
-
소매에 내 이름 박아서 못 주겠네 그거없으면 걍 우리반 후배 찾아서 주는 건데
-
걍 궁금해서 물어봄… 뉴스에는 경쟁률 많았다길래 엥 했음 ㅋㅋ
-
니게 1
Tv 개국 103일차
-
경북 ㄷ부산 2
투표좀요
-
내가 영재고랑 과학고 떨어지고 일반고 갔는데 문과로 전향한 케이스라서 물어봄
-
카톡만 한번 했는데 이제 수업 2번했거든
-
우영호 홍대였네 6
그때 홍대는 잡?대 아녔나 나름 출세하셨네 개념 몇개 듣는데 그렇게 강의력흡수력이...
-
지지율 차이가 오차 범위 내에 있을 때 “경합”이라는 표현은 무방하지만 서열화하거나...
-
룸카페 갔는데 4
알바같던데... 들어갈때 왤케 째려보냐 무서버라..
-
그때까지는 뻘글들로 참아줘~
-
거의 옛날 가형 vs 나형 급인가 근데 공대를 갈수있으면 이거 나형공대를 안하면 바보아냐?!
-
지금 분캠 무시하냐??
-
60명 뽑는 과 78번입니다. 신설과라 좀 쫄리네요
-
난 칼럼 열심히 쓸게
-
예.. 전전 기다립니다
-
하 방음 하나도안됨 뜨겁게 불타오르네
-
500이 넘노 전적대는 무료였는데
-
역시 인강만 하는 쌤은 존나 빠른가? 분명 2월 말쯤에 빌드업이랑 기어시 끝날거같은데
-
나 현역 때 2
인자강 02군번 원사(진) 한 분이 계셨는데 허리디스크 터지셨는데도 벤치 100키로...
-
지구온난화때문에 더운것도있고 겸사겸사
-
3월에합류해서 그때 커리큘럼부터 들어도 괜찮을까요?
-
일단 국영수는 사야겠고 탐구를 사야하나..??
-
할게 없다..
-
주 4~5회 1년 내내 감.. 개열심히했는데 유전자 ㄱㅆㅎㅌㅊ ㅠㅠ
-
시발점 Theme 1.5개 나갔네 아.
-
1. 수1 다하고 수2 다하고 확통 2. 수1 한단원-수2한단원-확통 한단원 3....
-
교재값 0
기출분석하시는 분 교재는 기출 딸깍만 했는데 너무 비싼거 같은데 라고 하면 고소당하려나
-
원래 텔그에서 변환점수 확인할 수 있었는데 막혀서 점수 확인을 못하겠어요 서강대...
-
그쪽에 꿈이 있고 하고싶은게 있다고 자기세뇌해서 일단 가면 본인이 공대로 갈 수...
-
2월 10일~12일 이내로 내면 될까요? 발표가 대략 2월 7일쯤 다들...
-
왜 얼마 안한거같지 아 저녁때 운동하고와서 그런가?
-
화2 재밌네 1
새로운 길을 걷는건 오랜만인데 재밌네요
-
노베에서 4개월만에 스쿼트 140 어케함
-
예비 고1 2
중3거 다시 보고 가야할 것 같은데 2주만에 복습하여면 어케해야라지
-
야끼소바 맛있게 하는 가게 어디 없을까요
-
어디가시나여
-
근데 그 꿀빨수있는 블루오션을 찾는것도 실력이다.
-
처음에 무진행 버스 타고갈때 몸에 힘 빼니까 더 피로해진다는거 ㅈㄴ 공감됨 근데...
-
이건 그냥 궁금해서요 계신가요???
-
6권에 56,000원이면 비싼건 아니지 않아요? 대가리 깨진건가
"이 사건 조항에 대해" 행정 소송을 거쳐야 한다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법률에 대해 행정소송을 거는 것은 말이 안 되기 때문에 제외시켰습니다.
원하시는 답은 아니지만 일단 평가원이 극명하게 절대 답이 안 되는 단서를 넣은 것 같아서요...
행정청의 구체적인 행정처분이 있었다는 내용이 지문에 없었기에 이를 멋대로 추측해서 행정소송을 해야한다고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법률이 위헌이라고 하여 위헌법률심판이나 위헌심사형 헌법소원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법률의 조항 그 자체 때문에 권리가 침해될 경우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이 가능합니다.
또한 지문의 사례는 지난 9월 헌법재판소에서 "각하" 결정을 받은 바 있는데 이유는 국민건강증진법 그 자체로 권리가 침해되는 것은 아니고 이 법에서 지자체에 금연구역 지정을 위임했고 지자체에서 그 pc방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할 때 비로소 권리침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ㄱ 선지는 절대로 ㄴ 선지와 동시에 성립할 수는 없기에 후에 논란을 피하고자 선지 구성에 애를 쓴 흔적이 보였습니다.
그리고 법률은 대표적인 공권력 행사에요
법률에 대한 헌법소원은 권리구제형입니다.
입법작용도 공권력 행사에요.
유일하게 이용재 듣고 도움된거
하.....ㅠㅠ 그나저나 그러면 위헌법률심사형과 권리구제형을 별도로 생각하는 이유가 뭔가요? 애초에 그러면 바로 헌법소원하면 되는 거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