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와 법] 2편. 수특 언제 봐요!?!?
안녕 옯붕이들아..
같은 컨셉잡는 건 불편하니까 존댓말 할게요.
친절한 종원씨입니다.
어쩌다 성격에도 안맞는 닉네임 달았는진 모르겠어요.
제가 전자책 내던 시절에 왜였는진 몰라도 닉을 그렇게 달아서....
///
오르비에 들어올 때면 항상 쪽지 한 통이 무조건 와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종원님. 현역(또는 N수)인데요,
저 이제 개념 인강 끝냈는데....
기출은 어떻게 시작하는 게 좋을까요!??!?!
아 맞다!!!! 수특은 언제 시작할까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수특 언제 해요?
(수특 제대로 하는 방법)
///
기출문제에서 꼭 필요한 3요소. 문제의 어휘에 익숙해졌는가, 개념과 문제의 연결고리를 찾았는가,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알게 되었는가. 이 3요소가 완성되었다면, 당신은 기출 1회독을 끝내신겁니다.
다른 과목도 마찬가지겠지만, 정치와 법 또한 문제 풀이가 굉장히 중요한 과목입니다. 개념은 아무리 열심히 들어도 어느정도 휘발될 수 있습니다. 개념이 휘발된 상태로 문제에 들어가면 당연히 문제가 풀리지 않습니다. 이를 잡기 위해서는 꾸준한 개념의 회독도 중요하지만,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문제풀이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러나, 단순히 기출문제를 뺑뺑이 돌린다고 해서 휘발될 개념들이 꽉 잡히고, 50점으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문제의 답만 외우는 최악의 상황이 연출되지요. 문제의 어휘를 이해하지도 못했으면서 자신이 법정을 좀 한다고 착각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겁니다.
이런 상황을 막아내기 위해서는 기출문제 풀이에 꼭 필요한 3요소가 필요합니다.
그건 여깄음 ㅋㅎ
///
그럼 본편으로 들어가서,
수능특강은 언제, 어떻게 시작할까요?
기출의 3요소가 마무리되고, 문제를 풀이하는 자신만의 방식이 정립이 됐다면, 양치기를 시작할 때가 된 것입니다. 다만, 기출의 3요소가 마무리되어 1~2회독을 마무리한 시점에서 정법 개념을 다시 한 번 돌려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정법 개념의 특성 상, 어렵고 복잡한 절차들이 많기 때문에, 기출을 풀이하면서 휘발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휘발된 개념들을 다시 익히고, 이미 알고 있던 개념들은 다시 봄으로서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수능특강을 병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수능특강은 교ㅐ 특성 상, 한 개념만을 다룬 문제를 수록합니다. 수능특강의 목적은 개념의 완성에 있기 때문에, 개념 그 자체에 집중한 문제들이 많이 출제됩니다. 한 테마 마지막 쪽의 심화 문제를 제외하면요.
개념을 다시 공부하면서 휘발된 개념을 다시 자기 것으로 만들고, 문제 풀이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다시 고민해보는 과정을 거치면 충분히 완벽히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수능특강은 위 링크에서도 언급되었던 개념과 문제의 연결을 꾸준히 연습하기만 해도 충분히 잘 활용하는 겁니다. 그 이상으로 문제를 완벽하게 분석하려 한다거나, 어휘 하나하나 이해하려고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것은 평가원 기출만으로도 충분하니까요.
그 후에는 다시 기출로 넘어가서 수능 때까지 자신의 태도를 교정하고, 정답과 오답을 가르는 선지들을 파악해보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수능완성이 나오면, 또 다시 이 과정을 거치도록 합니다. 수능완성 활용법은 수능완성이 공개되는 시점에 글을 새로 올리겠습니다.
///
그럼 결론을 이야기합시다.
1. 수능특강은 기출을 어느정도 완성한 직후 개념을 다시 복기하는 차원에서 활용해야 한다.
2. 수능특강은 개념완성이라는 특성 상 한 개념만을 다룬 문제를 수록한다.
3. 그렇기 때문에 개념과 문제의 연결을 연습하는 용으로 수특 문제를 풀이하면 잘 활용하는 것이다.
4. 수특은 깊게 파고들지 않아도 된다. 연습용, 양치기용으로만 생각해도 된다.
///
정치와 법 1편 - 기출 시작하는 법
막간, 정법 (1) - 탄핵은 대통령만 해당될까?
올해부터 정법 컨텐츠 제작 시작합니다.
[무료 배포] 2021학년도 White-Day 모의고사 배포 안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부산대 언어쪽...? 완전 낮과 vs 교대...
-
올해 재수하고 미적에 가산3%주는 국숭인아라인이 목표인데 미적해서 가산 챙기는게...
-
고2 9모때 23232 생지였는데 지구랑 사탐1개 할지 사탐2개로 할지 고민됩니다...
-
몇년간 언문독햇는데 독서 시간촉박해서 마지막에 심장뛰어서 글읽는게 극복이 안되네요...
-
몇년간 언문독햇는데 독서 시간촉박해서 마지막에 심장뛰어서 글읽는게 극복이 안되네요...
-
죄송합니다 0
다시는 원딜을 무시하지 않겠습니다..
-
고2 때 수학을 안 했어서 겨울방학 때 빠르게 수2 한 번 돌렸고, 수1은 개념은...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떨리네요 1
원래 무념무상였는데 이제 상향들 다 떨어지고 카드 하나만 남으니 떨리네요. 다군이...
-
ㅇㅂㄱ 8
좋아(좋은아침이라는 뜻)
-
2021년과 2022년 수능국어 난도 어땠나요??? 5
그때 수능 난도 어땠나요???
-
한솥 뭐먹지 4
-
얼부기 4
음 그래그래 형은 국밥 한 그릇 벌었어
-
마지막 스텝에서 엉덩이에 힘을 주는게 아니라 그냥 복압? 넣고 장에 힘주면 그냥...
-
ebs 25수능 국어 브리핑 보면 왜 문제들이 '저능'했는지 1
알수있음 ebs 현장교사단 한병훈 교사의 대답 또 문항의 선지는 과도한 추론 없이...
-
시험볼 일이 있어서 다음주 토요일인 15일에 폰을 꺼둘 거 같은데 추합전화 못받으면...
-
연그린이다 근데 영린이 더 야무져서 그냥 영린하기로함 영어실력이 5세어린이급이라 닉값도가능하다
-
최저 생지 2
최저로 일단 생지 준비하고 정 아니다 싶으면 6모 이후에 사문생윤 런 칠라하는데...
-
원래 등원시간 8시까지고 늦잠...자버려서 지금 일어났는데 전화같은것도 안와있고...
-
나만 오르비 통해서 들어갔는듯 ㅋㅋㅋ 나머지는 에타 통해서
-
미분 파트 연습하려고 설맞이 풀어봤는데 문제가 괜찮긴 하지만 솔직히 고트다 하길래...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올해 1차 조발안했었는데 최종은 조발일수있나
-
근데말이야.. 이즈가 이렇게 어려운거면 제리는 얼마나 어려운거야 대체..
-
화작 미적 생윤 사문 입니다 군수생이라 일단 수학만 시발점 돌리고있어요 올해 6월...
-
씻어야 하는데 흠….
-
ㅅㅂ 0
수학
-
(아마도)서울대 조기발표 날이네요 항상 하루 전에 해왔으니까요 열심히 달려온 모든...
-
참고로 나는 공부를 막 스카이 가기위해 치열하게 한건 아님 고등학교 선행도 안했고...
-
죄송합니다 0
다시는.. 이즈리얼 유저를 무시하지 않겠습니다
-
얼버기 9
피곤해요...
-
조정호샘 커리 0
조졍호샘 여름전까지 혹시 계속 빈칸순서삽입만 계속수업에 다루시나요? 다른샘은...
-
ㅇㅂㄱ 1
죽겠다 밥 늦게먹기 + 커피 + 새르비 대환장 콜라보
-
브ㄹㄹ라 1
에이사
-
웬만한 일식집 부럽지 않은 조식이에요 :) 오늘은 후쿠오카로 넘어갑니당 오늘의 프사 1)
-
현역 사탐런 2
고2 9모가 23232 나왔습니다 생지이고요 언매 미적할 예정입니다 작년에 내신으로...
-
9시까지 도착해야하는데 택시는 기사가 길을 몰라서 나한테 물어보고, 한동네임...
-
안녕하세요 황성찬입니다. 오늘은 “논술은 어떤 학생이 준비하는 것이 좋을까?”를...
-
4일천하 가자
-
얼마나좋을까
-
경기도 사는데 미용실 이곳저곳 다 다녀봤지만 맘에 드는 데가 서울밖에 없어서 계속...
-
재수종합반을 비교해드립니다
-
[속보] 작년 경상흑자 990억달러, 3배로↑…12월 124억달러 역대 최대 1
[4일 오후 부산항 신감만부두와 감만부두,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
신원식, 美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한미관계·北문제 논의 1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5일 마이클 월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를 가졌다. 트럼프...
-
왜인지 모르겠는데 2012학년도 수능 가나형의 일부 문제들 쉼표가 파란색으로...
-
전한길, 내란선동으로 고발당해…'尹 국민변호인단'도 가입(종합) 1
부산역광장서 "국민이 헌재 휩쓸 것"…논란되자 "국민 의지 폭풍처럼 전한단 뜻"...
-
얼버기 3
ㅇ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