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의료기관 관련 질문이요 ㅎ
생담실에 의대 학부졸업후 바로 개원하신 분에 관한 글에서
아는것도 별로 없구 임상 경력도 없다구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시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생각해도 맞는 말이긴한데
1차,2차,3차 로 이어지는 의료체계가 사실 우리나라에선 무너졌지만;;;
다른 나라에선 굳이 모든 의사가 전문의나 이런거 안따고, 1차 의료기관 개설하고 2차, 3차로 트랜스퍼 해주고
이런게 실제로 있는 일인데...
이부분에 대해 의대생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ㅎ
외국 의사들도 임상경험을 위해 따로 페닥이나 인턴정도는 거친 후에 로컬나가서 개원하는건지..
그게 아니면 그냥 우리나라의 의사들이 대부분 전문의를 따고 나오기 때문에 위험하게 보이는 것 뿐인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작년 6모 이후부터 양평기숙학원 입소해서 수능 볼때까지 있었음. 궁금한거 있으면...
-
어제 꾸었던 꿈 0
인내심을 가지고 노력해서 이번 수능 좋은결과 얻자!
-
근데 남자임
-
성격마저 못나서 연애를 못함 씨발
-
무물보 합니다 1
아무거나 질문하세요 개인적인거 / 밸런스게임 / 고민 / 선넘는거 최대한 답변합니다
-
사람이 좋음 1
사람이면 됨
-
존예+일찐상 대학은 어디 갔으려나.. 강민철 열심히 듣던데
-
새벽여캐투척 3
음역시귀엽군
-
다음닉 뭐하지 8
ㅊㅊ좀
-
메인 저주글 2
이제 봤는데 글목록보면 본인도 약대 지역인재 썼으면서 수시 고대 쓴 분 붙지 마라고...
-
어허... 0
이런건 눈감아줘야지
-
고등학교 졸업하고 소리소문없이 사라진 애들 재수 끝나고 근황 끊긴 애들 초중딩때...
-
연락 요망 6
경기도 19 남
-
까고 나니까 무슨 느낌임?
-
여자가 좋음 6
여자면 돼
-
고2때 잠깐 좋아했던 애 있는데 객관적으로 봐도 예쁘진 않았음 근데 피부 하얗고...
-
좀 나랑 사고방식이 다른거같음 그렇게 여자만나는게 인생에서 중요한가? 여기서...
-
날 이끌어 줄 수 있는 눈나❤️
-
일단기출부터봐야하나
-
오늘 저녁에 친구랑 테니스 치는데 옆 코트에서 운동하시던 분이 말 걸어서 몇마디...
-
ㅇㅈ메타안오냐 3
ㅇㅈ메타 원해요
-
전 바부,똥,뽀지직 좋아합니다
-
성격이 압도적으로 좋으면 호감 가더라 어느순간 예뻐보임
-
붕가붕가 5
휘이익
-
아무튼간 미안해ㅠㅠㅠ
-
초등학교 입학할때부터 봐왔던 동네친구들 꿈을 찾아 나아가고 다들 멋있는 성인된거보면 신기함
-
나말고 본적이 없어 난 내한도 갈정도로 좋아하는데
-
지거국 탐구과목 교육과랑 인문계열 학과 붙었습니다 꿈이 딱히 없어서 부모님께서...
-
본인이 재르비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하려다가 너무 의도가 보여서 그냥 투표만 해주세요
-
투표해줘요
-
공통 제외 미적만 풀이 한거에요 pdf 파일로도 첨부했으니 혹시 필요하다면 사용하시면 되요
-
옯만추는 4
실존한다네요
-
ㅈㄱㄴ 시대기숙합격통보 문자 받았고 돈도 입금함 참고로 선택 투투임
-
내 프사 넘 이쁨 16
쪽
-
씨발
-
한의사는 좋겠다 2
뭔가 본인 아플때 혈자리같은거 기가 막히게 찾아서 자힐 가능하지않을까
-
이쁜아 5
일루왕
-
호박 감자 고구마 닉네임
-
물론 최저는 맞춰야함
-
ㄹㅇ 아재 그자체여서 너무 호감이고 웃김ㅋㅋㅋㅋ
-
맛잇는데 다들 몰라주는 음료임
-
그 호칭을 입 밖으로 뱉을 수가 없어 오글거리잖아
-
그래야나이가맞는데
-
말 그대로 호감인 고닉인거임?? 아니면 나쁜 의미임
-
쪽지 기능 3
한 번도 안 써봄
-
수능시험장 같아서 만나버림
-
경찰에 신고해 말아?. 운동장에서 시끄럽게 뛰고 난리났음
-
ㅠㅠ
대부분의 나라에서 GP (General Physician) 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의사 면허 취득 후 일정 기간의 연수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일례로 일본에서는 2년 간의 연수의 (인턴) 과정을 거쳐야 보험진료가 가능하고,
영국은 2~3년 동안의 연수 후 별도의 시험을 통과해야 GP로 활동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실제로 의료현장에 나오면 아시겠지만 학교에서 배운 것과 현실은 많이 다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면담시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환자를 Control 하는데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고,
약물 처방에 있어서도 실제 제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고생을 하는 경우가 많죠.
학교에서는 치료효과가 있는 성분에 대해서만 배우지만 실제 제품은 같은 성분의 약이 수 천, 수 만가지 되는데다가
제품에 따라 복용횟수, 방법, 제한용량 등이 다 다르기 때문에 그것을 익히는데만 해도 골치가 아프더라구요.
기타 다른 술기들이야, 익숙하지 않은게 당연하구요.
우리나라에서는 학교 졸업 후 의사 면허를 취득하면 바로 GP로서 활동할 수 있긴 하지만
생활상담실에 올라왔던 경우처럼 실제로 곧바로 개원을 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자신이 실제 환자를 보는데에는 어려움이 많다는걸 스스로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 다른 의료기관에서 봉직의로 근무하면서 경험을 쌓거나 각종 술기들을 익히게 됩니다.
현재 GP로 개원 중인 선생님들은 거의 대부분 그런 과정을 밟으셨다고 생각하면 되죠.
그 중에는 레지던트 과정 중에 일을 그만두신 분들도 있는데
어차피 대학병원에서 배우는 내용과 개원가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그 분들도 개원 의사로서 필요한 내용을 봉직 중에 따로 배우셨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남자 의사들의 경우에는 군의관 또는 공중보건의사로 근무하면서 익히게 되는 것들도 많죠.
실제로 그 3년동안의 근무가 임상경력으로 인정되기도 하구요.
아무래도 전문의에 비해서는 GP들의 전문성이 떨어지기는 하겠지만,
다른 나라의 GP들과 비교해서 우리나라 GP들의 경험이나 임상수준이 떨어질거라는 우려는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