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출신 CEO 설대, 한양대 순..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지난해 국내 1000대 기업 최고경영자(CEO) 중 이공계 출신 CEO를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은 '서울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단과 대학별로는 '한양대 기계공학과'가 이공계 출신 CEO 요람지로 파악됐다.
이는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가 지난 2008년과 2010년 매출액 기준 국내 1000대 기업 대표이사 CEO 중 이공계(약학, 의학 계열 포함) 출신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조사 대상 이공계 출신 CEO는 2008년도 1278명의 대표이사 중 529명, 지난해는 1074명 CEO 중 462명이 이공계를 나온 것으로 파악됐다. 1000대 기업 CEO 중 이공계 출신 비율은 2008년 41.4%에서 2010년 43.0%로 1.6%p 늘었다.
가장 많은 이공계 CEO를 배출한 대학은 2008년(155명), 2010년(136명) 모두 서울대로 조사됐다. 2위는 한양대가 3~4위와 격차를 벌이며 앞섰다. 한양대는 지난해만 70명의 이공 계열 출신 CEO를 배출했는데, 이는 3위 고려대(38명)와 4위 연세대(32명) 출신자를 합한 숫자와 동일한 수준이다.
이외에도 톱 10에는 성균관대(21명), 인하대(16명), 중앙대(15명), 부산대(13명), 동아대·건국대(8명)가 차지했다. 지방대 중에서는 경북대가 16명의 CEO를 배출했다.
단과 대학별로는 한양대 기계공학과가 2008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이공계 출신 CEO를 가장 많이 배출한 요람지로 꼽혔다. 작년에는 19명의 CEO(NK 박윤소 회장, 한국전력 김쌍수 사장, 한라공조 신영주 회장, 지역난방공사 정승일 사장, 부국철강 손일호 사장, 대한도시가스 김복환 사장 등)가 나왔다.
이공계 출신 CEO 연령대 분포는 2008년에는 50대가 42.3%에서 지난해에는 46.3%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반면 60대는 2008년 41.6%에서 38.5%로 감소했다. 40대도 15.3%에서 14.3%로 줄었다.
오일선 소장은 "지난해 이공계 출신 중 서울 및 수도권 내 대학을 나온 CEO는 81.8%, 지방대를 나온 비율은 15.2%에 그쳐 CEO 비율만 놓고 볼 때도 지방대 이공계 위기가 수치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지방대 이공계를 살릴 수 있는 정책적 묘안이 절실한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Hi 1
밤 샜음
-
막상되니까 가기가 싫음 어케 해야됨?
-
오늘도 0
킨텍스는 사람이 많아요 바글바글
-
여기 올해 컷 얼마정도일것같으세여??
-
아마 한 2월말부터 n제할거 같은데 뭐뭐하면 좋을까요? 작년에는 쭉 평가원 교육청...
-
성불 ㅇㅈ 5
드디어 뀨뀨대에 가게 되네요 Team 02 이제 수능 그만 보고 성불하겠습니다
-
물론 응답표본이 n수악귀앰생인지 메디컬 서연고 사회인인지에따라 의미가 달라지겟지만...
-
누구는 사수해서 의대가는데 누구는 사수해서 부경전충을 가더라(당시 사수해서 부경전충...
-
언문독 언독문 1
국어 순서 어케하심?
-
수특 독서 경제 지문 고3이 소화할 수준 맞아...? 4
국어 강사가 막 수특 독서 1회독 끝냈는데 드는 생각이, 다른 분야는 몰라도 경제...
-
탈르비 하신건가요..
-
추합 0
건대 가군 추합 2배수 도는건 기대하기힘든가요 ㅠㅠ
-
누가 연세대 vs 서강대 특정과 선호도 물어본 글에 며칠후에 우연히 다시...
-
49→125명 증원해놓고… 의대 실습실 확충은 ‘0’ 2
“지난해와 비교할 때 실험실, 해부학 실습실은 하나도 바뀐 게 없다. 교원 충원도...
-
엥 고려대 기숙사 정시 원서 쓸 때 선택하면 끝 아님? 0
뭘 더 했어야 하는 거였나요 뭐지 좆됐는데
-
현역 수능: 56353 재수: 43322 지금은 추합기다리고 있고 사실은 재수때...
-
맛잇네여
-
설사범 뭐 내신이 BB인게 잘못이야 아니면 내가 면접을 못한거야 이유가 뭐야 시1발...
-
설마 이걸 몰라서 뉴런을 듣진 않을거 같애
-
경희의vs한양의 0
넷상에서는 둘 다 완전 비슷비슷하다고 하는데 또 주위 사람들은 무조건 경희의가 더...
-
텝스 질문 0
청해 부분 대화 질문 문제 선지까지 다 듣기로만 주는거로 아는데 메모지 같은게...
-
부담스럽다하면 바꿔주시나요?? 좀 일찍가는데 걸리면 조질거같은데
-
과외에서 국어 문법 가르칠 때 학년별 차이점이라면... 0
어차피 중3이나 고3이나 배우는 문법 개념은 똑같음 근데 차이점이 있다면 의존명사...
-
ㅇㅂㄱ 2
-
2026 인서울 의과대학은 물변표인가요 불변표인가요? 0
변표에 대한 개념이 전혀 없는데, 25수능 정시전형까지는 서성한이 대표적으로...
-
시대 vs강하 0
목동 강하 장학 받으면서 시즌0하고있는데 시대붙었는데 시대가는게 나은가요? 강하에서...
-
ㅈㄱㄴ
-
시간아 빨리가줘
-
96 96 1 98 96인데 CC이면 설인문이나 가장 낮은곳 되는학과ㅠ있을까요?...
-
언매 인강 추천 1
언매 유베이스 기준 언매GOAT 강의가 뭐임?(시대,두각 포함) 언매올인원,...
-
얼?버기 2
글 리젠 속도 와이러노 암튼 기상 성공
-
드디어..!
-
참 슬퍼
-
기차지나간당 10
부지런행
-
얼부기온앤온 6
-
특정안당할려고 이악물고 대학 이름 말안했는데 결국 당했네 난 순수한 사람이야 。◕‿◕。
-
믿습니다 티웨이 0
눈보라 때문에 비행기 안뜰까 걱정하고 있었는데 이걸 보내주네 ㅋㅋㅋㅋㅋㅋ
-
얼버기 3
응..
-
기차지나간당 4
부지런행
-
만약 과제로 수특 변형문항이 제공되었을때, 어느정도 난이도와 변형정도를 원하시나요?...
-
알바 문의 문자로 했는데 한달만에 답장이 왔네용 근데 제가 알바 꼭 해야 하긴...
-
얼버기 1
안녕하세요
-
도로에서 잠자는 것 같아요
-
겁나 mz한 발암캐가 생겨서 하차했어요 중독수준으로 보고 있었는데 이건 좋은건가..
-
가난이 군대같이 오리라
-
진로고민만 하다가 일단 공부 시작하니까 행복해요 근데 이제 시간이 잘 시간이ㅡ아니라...
-
대전 근교 살아서 대전에서 재수해야됨 기숙은 작년에 윈터썸머 갔다왔는데 정신병만...
2010년 이공계 CEO 수
- 서울대 : 136명
- 한양대 : 70명
- 고려대 : 38명
- 연세대 : 32명
- 성균관 : 21명
- 인하대 : 16명
- 중앙대 : 15명
- 부산대 : 13명
한양대 출신이 연고대 합친거 보다 많아서 역시 이공계는 설대 담이 한양대임을 알 수 있음...
(2010년 : 연세+고려=한양, 2008년 : 연세+고려<한양...임)
아직까지는 한공이 살아있다는 증거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어떨련지 모르지만
예전에 orbi에서 어떤 분이 쓰셨기를
한양대 출신 이공계 인사들이 많은 이유 중 하나로 한양대의 졸업생이 많다는 이유가 있다더군요. (특히 과거에)
한양대의 위상을 폄하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타 대학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결과가 나온 데 대한 개인적 의견입니다.
소수집단은 조직사회에서 불리합니다. 한대문과가 서강대처럼 소수정예(?--실제로 한대핵심인 경영 경제는 더 적어 왔음)라 그러한 경우인데 앞으로 한대문과는 정원을 늘려서 그런 약점을 벗어나는게 상책이죠. 정원 많고 우수한 인재가 많으면 좋을 뿐입니다.
그게 아니고요, 1981년 대학졸업정원제가 도입되어 대학 입학정원이 1980년 이전에 비해 2배 이상으로 늘어 나면서( 지금은 그때보다도 더 많다도 합니다.), 전기 ,후기로 나누어 있던 대학들이 전,후기가 폐지되면서, 후기였던 성대,한대가 후기로 신입생을 선발하지 않게 되는 제도 변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1980년 예비고사,본고사 시절까지만 하더라도 전기에서 서울대를 탄락한 최상위권의 지원자들이 문과는 성대로,이과는 한대로 진학을 했다고 합니다. 그 당시에는 성대 법대 상대, 한대 의대 공대가 거의 서울대급이었다고 합니다. 성대 법대가 고대 법대보다, 성대 상대가 연대 상대보다, 또 한대 의대 공대가 연대 의대 공대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우위에 있었다고 합니다.
전국 수험생들이 모두 치뤄야 하는 예비고사 성적에서도 성대 법 상대는 서울대 인문계열보다 훨씬 높을 정도였고, 한대 의대 공대는 서울대 의대 공대와 큰 차이가 없었고, 연,고대 최상위권 과와는 현격한 격차가 있었다고 합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이런 차이가 1980년 이전 학번의 사회적 성공의 차이로 이어졌다고 보아야할 것입니다.
그정도는 아니구요.
설대,연대,고대..등 서울권에서 떨어지면 재수하거나 후기 가는거죠..
무조건 설대 떨어지면 후기 가나요?
연대, 고대, 기타대도 떨어지면 후기 갔었네요.
일부 잘하시는 분도 있었다 정도입니다.
연고대 보담은 한대가 과별 인원수도 많고 출신 선후배들이 잘 뭉쳤죠.
당시의 입시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하고 하는 말이군요.
당시 본고사 시절에는 대학마다 시험과목이 다 달랐지요.
서울대 문과의 경우 국,영,수,사,과,제2외국어 (이과는 제2외국어제외) 를 모두 치루어야 했지요.님이 말하는 연고대는 국영수사(문과), 국영수과(이과) 정도만 보았지요.
그런데 성대와 한대는 서울대 탄락자의 유치를 겨냥하여 서울대와 동일한 과목으로 본고사를 치뤘지요. 그러니 연고대 탄락자들이 성대,한대를 응시한다는 것은 애초부터 거의 불가능했다 보아야죠.
뿐만아니라 본고사 약 2개월전에 의무적으로 치루어야 하는 예비고사(국영수사과, 체력장)가 320점 만점이었는데 예를 들어 본고사 합격자 평균점수가 매년 조금씩 순위를 달리 하긴 했지만 서울대법대>서울대사회대=서울대경영대=성대법대=성대상대> 서울대 인문대=성대사회대>서울대농경제=서울대사대>성대문과대,.......>고대법대=연대상대 순이었으니 그 수준을 가히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성대 법대가 고대 법대보다 예비고사점수가 20~25점정도 우위에 있었지요 이런 것 요즘 인터넷 상으로도 쉽게 찾을 수 있을 겁니다.
연고공도 80퍼센트 정도가 졸업하면 여기저기 찾아다니면서 대기업 취직시험을 보는데
한공은 기업에서 들어와서 4년 동안 장학금과 취직보장 거기다가 뜻이있는 학생들한테는 석박사까지 보장해주고 있죠
그런과들이 처음엔 융전 하나뿐이었는데 1년 사이에 자동차, 소프트,에너지,모두 4개과가 만들어져있고,앞으로도 얼마나 더늘어날지 모르죠
세계적인 우리의대기업들이 왜 한공에 그런혜택을 줄까요 ,
기업 입장에서봤을때 당연히 한공에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거겠죠, 지금 한명이라도 더 뽑기 위해서 혈안이 되있고 하는데
그이유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한공의 실용주의 학풍도 중요한 포인트일겁니다
당연히 한공학생들이 지금도 대기업에 많이 들어가고 공대인원수도 고공보다 400~500명 연공보다는 200명 이상 더많으니 , 미래에도 위와 같이 되지않을까요